디지털성폭력대항단체인 ‘DSO(Digital Sexual Crime Out·디지털 성폭력 아웃)'를 이끄는 하예나 대표(활동가)가 2월부터 여성신문 연재를 시작합니다.

하 대표는 2015년 소라넷 고발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활동가 연대를 구축하고 모니터링하면서 공론화를 주도했습니다. 2016년 경찰의 소라넷 폐쇄는 그가 계속해서 싸우고 더 강력하게 외쳐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다가왔습니다. DSO 단체 설립에 나선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입니다. 하 대표는 연재를 통해 디지털 세상에서 무감각하게 벌어지는 성폭력 실태를 낱낱이 고발할 예정입니다. 코너명 ‘하예나의 로.그.아.웃’에는 디지털공간의 성폭력을 종료·근절하겠다는 의지가 담겨 있습니다.

 

대학교 단톡방 성희롱 사건이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지난해 연세대학교에서 만들어진 남학생들의 단톡방 안에서는 여학생을 추행·강간한다는 말에 ‘ㅋㅋㅋ’라고 메시지를 보낸 것을 보고 경악했던 기억이 난다. 그들은 성희롱 놀이터가 된 단톡방의 내용을 고발한 사람에게 ‘남녀 갈등을 조장한다’고 비난했다. 경악하는 사람들에게는 모두 아는 성적인 이야기에 왜 이렇게 모르는 척 행동하느냐고 몰아세우면서 이것은 개인의 자유이고, 불편해하는 사람이 예민하고 문제가 있다는 듯이 취급했다.

소라넷 사건 당시에도 그랬다. 소라넷에서 실시간으로 강간을 중계하는 게시글에는 댓글이 50개 이상 달리고, 조회수가 수 만까지 올라갔음에도 불구하고 수년 간 누구 하나 문제 제기하지 않았다. 그러한 강간모의 행각이 여성들의 의하여 공론화된 후, 몇 문제 제기를 하는 네티즌이 있었으나 가해자들은 ‘어째서 분위기를 깨는 것이냐’고 큰소리쳤다. 이것은 성적인 자유를 즐기는 것이며, 받아들이지 못하는 사람이 예민한 거라고 몰아갔다.

나는 위의 두 개의 사건이 크게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가해자가 하는 행위와 맥락은 똑같기 때문이다. 카카오톡이라고 디지털 성범죄가 없는 것도 아니다. 해외 디지털 성범죄 사이트들(소라넷) 처럼 카카오톡 등 SNS도 디지털 성범죄가 퍼지는 매체 중 하나다.

디지털 성범죄가 일어나는 원인으로 사람들은 ‘이별 후 앙심’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나의 여자친구’와 성관계한 것을 단순히 자랑하기 위해서 영상 공유하고 그것을 본 사람들이 파일을 저장하고 공유하는 경우도 많다. 연세대 단톡방에서도 복수(?)하기 위해서 성희롱을 한 것은 아니지 않는가. 꼭 추잡하고 초라한 ‘앙심’으로 인해 디지털 성범죄가 일어날 것이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이는 ‘몰카범’들을 생각해보라. 그들이 ‘앙심’으로 인해 그러한 범죄를 저질렀을까? 그들에게 여성의 몸은 단지 일종의 ‘재화’같은 것일 뿐이다. 다른 온라인 공간을 보면 그 특징이 더 잘 드러난다.

 

지난해 문제가 된 연세대 단톡방 성희롱 사건
지난해 문제가 된 연세대 단톡방 성희롱 사건

다음, 네이버 등의 비공개 카페에서는 ‘픽업 아티스트’라는 이름을 달고 직접 만난 여성들의 영상이나 사진을 ‘전리품’ 삼아 본인이 얼마나 많은 여성의 마음을 얻어냈는지 전시한다. 카페가 꼭 숨겨져 있지 않더라도 공개된 남초 카페에서 성기가 노출되지 않은 본인의 ‘아내’ ‘여자친구’의 사진 등이 올라오기도 한다. 속옷을 입은 여성의 사진이 ‘섹시한 울 마눌’등의 제목으로 올라온 것을 보았는데 역시 동의를 받았는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

국내 서비스가 아닌 페이스북의 경우 가해의 수위는 더 높아진다. 피해자를 직접 태그해 영상과 허위 사실을 올려 집중적으로 가해한다. 영상의 주인공이 실제 피해자인지 아닌지, 게시돼있는 글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다. 개인적인 ‘앙심’이 정말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드러난 것을 볼 때 게시자는 ‘좋아요’와 ‘팔로우’를 원한다. 그래서 주 표적이 되는 것은 ‘페이스북 스타’라고 불리는 유명한 여성들이다. 그것을 목격한 사람들은 단지 그 여성이 ‘성행위’를 했다는 추측만으로 사람들은 피해자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언어폭력을 서슴지 않는다.

최근에도 DC인사이드 커뮤니티에서는 술취한 여성의 벗은 몸 사진이 실시간으로 계속해서 업로드됐다. 사진을 찍은 가해자는 성폭행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클럽에서 만난 심신미약의 여성의 나체 사진을 찍은 행위’자체부터 성폭력을 저지른 것이다.

이렇게 ‘여성’을 공유한 게시자는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사람들은 ‘감사’와 ‘찬양’의 댓글을 남기고 간다. 여성을 단순히 ‘소유물’이라고 생각한 것이 아니라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이러한 일은 제법 흔하게 벌어진다. 그것도 공개적인 공간에서 말이다.

이는 모두 디지털 성범죄가 들끓었던 소라넷과 다르지 않은 범죄 행위다.

디지털 성범죄가 있기에 ‘소라넷’과 같은 특수한 장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필요한 것은 단 하나다. ‘그래도 된다’ 는 분위기다. ‘남성의 성욕은 왕성하기 때문에’ ‘충동을 참을 수 없기 때문에’ ‘자유를 원하기 때문에’ 그래도 된다고 여기는 듯 하다.

사람들은 소라넷을 멀고 먼 존재일 것이라고, 정말 ‘정신병자들’의 모임일 것이라고 여긴다. 하지만 소라넷은 멀리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주변을 돌아보자, 당신이 들어있는 카톡방에서, 혹은 SNS부터 유심히 살펴봐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