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인지 기업홍보물인지...

영화 속 광고(product placement)는 영화를 보는 관객으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제품을 인식하게 만든다. 직접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영화의 텍스트 속에 녹아 마치 영화의 한 요소로서 인식되기 때문이다. 더욱이 해당 영화가 흥행에 성공했을 경우 거부감 없이 상품 이미지를 크게 높일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광고주들에게 광고의 한 형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한 영화가 점차 블록버스터화함에 따라 제작비가 크게 높아지자 영화제작자의 입장에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자는 게 요즘의 추세다.

@16-3.jpg

할리우드 영화의 경우 이러한 방식의 광고는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터미네이터>에서 아놀드 슈왈제네거가 몰고 다니던 오토바이나 <맨인 블랙>의 주인공들이 늘 쓰고 다니던 선글라스 등은 높은 광고 효과를 보였고, 스티븐 스필버그의 에서는 엘리엇이 배고파 하는 ET에게 초콜릿을 나눠주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그때 등장한 초콜릿의 매출이 영화상영 이후 60%이상 폭등했다고 전해지기도 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쉬리>에 등장했던 SK 텔레콤, <약속>에서 박신양이 전도연에게 선물하는 차 마티즈, <접속>의 유니텔 등이 영화 속 광고효과를 톡톡히 본 사례이다. 그러나 이런 광고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영화 소비자의 입장에서 자칫 영화 대신 광고를 보게 될 수 있다.

영화 캐스트 어웨이(로버트 저메키스 감독)는 이 점이 기우가 아님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어릴 적 읽었던 모험소설의 환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던 이 영화는 노골적으로 등장하는 광고 때문에 도무지 영화 속으로 들어갈 수 없게 만든다. 페덱스의 직원인 톰 행크스가 조난당해 4년여의 시간 동안 무인도에서 지내다가 우여곡절 끝에 돌아온다는 줄거리를 갖는 이 영화는 화면을 가득 메우는 페덱스 상표에 질리게 하더니 이내 스포츠용품 회사인 윌슨의 공을 클로즈업 시킨다.

이 공은 주인공의 친구이자 우상이 되는데 주인공은 이것을 상표명인 윌슨이라고 부른다. 더욱 기가 막힌 것은 이 윌슨이라는 것이 여러 씬에 등장하는 배우라는 점이다. 영화를 보러 온 것인지 기업홍보물을 보러 온 것인지 헷갈릴 때 쯤이면 톰 행크스를 구해줄 배 위에 그득한 상품들의 로고가 와이드 샷으로 훑어진다.

수많은 상표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 이 영화는 흥행에 성공하지 못하더라도 결코 손해보지 않을 게 확실하다. 사람들이 보면 덤이고 안봐도 이미 돈은 벌었다는 생각을 하고 있을 제작자들보다 할리우드의 대표적 연기파 배우라는 톰 행크스의 선택에 배신감이 큰 영화다.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