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경여연과 대구시민연대등 54개 단체들이 10일 대구은행에서 발생한 성추행사건과 관련한 후속 조치미흡을 지적하며 일시적인 해결책보다 성추행사건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는 조직문화와 시스템 마련을 촉구했다. ⓒ권은주
대경여연과 대구시민연대등 54개 단체들이 10일 대구은행에서 발생한 성추행사건과 관련한 후속 조치미흡을 지적하며 일시적인 해결책보다 성추행사건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는 조직문화와 시스템 마련을 촉구했다. ⓒ권은주

대구은행(행장 박인규)의 성추행사건 상황대처방식이 상당히 지리멸렬하고 방만한 태도로 임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이하 대경여연)과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이하 대구시민연대) 등 54개 단체는 지난 10일 대구은행 제2본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4일부터 대구은행 제2본점 앞에서 출퇴근시간에 1인 시위를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대구은행에서 성추행사건이 발생하자 대경여연과 대구시민연대는 7월 10일 ‘성추행 사건 진상규명과 피해자 인권보호’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그러나 대구은행이 명쾌한 해결책을 내놓지 않자 한달만에 다시 직접행동에 나선 것이다.  

“시민들이 원하는 것은 일시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성추행사건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는 조직문화와 시스템 마련이다. 시민사회단체의 요구를 계속해서 무시한다면 대구시민들은 대구은행에 대한 신뢰를 거두겠다. 대구시민은 성희롱이 발생하는 은행과 거래하고 싶지 않다”며 ▷피해직원 인권보호와 2차 피해 예방 ▷전직원이 참석하는 치유적 직장내성희롱예방교육 ▷직장내성희롱 실태조사 ▷DGB인권센터 구성과 운영방안 발표 등을 촉구했다.

 

대경여연과 대구시민연대등 54개 단체들이 10일 대구은행에서 발생한 성추행사건과 관련 후속 조치 미흡을 지적하며 대구시민은 성희롱이 발생하는 은행과 거래하고 싶지 않다며 대구은행 거래 중지를 외치며 대구은행 통장을 찢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권은주
대경여연과 대구시민연대등 54개 단체들이 10일 대구은행에서 발생한 성추행사건과 관련 후속 조치 미흡을 지적하며 대구시민은 성희롱이 발생하는 은행과 거래하고 싶지 않다며 대구은행 거래 중지를 외치며 대구은행 통장을 찢는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권은주

대구은행은 성추행사건에 대한 노동부조사와 경찰내사를 근거로 지난 달 28일 가해자 4명에 대해 징계를 내렸다. 1명은 파면, 2명은 3개월과 6개월의 정직(21개월, 24개월 승급정지, 징계기간 중 재택근무, 기준급여의 20% 지급), 1명은 감봉 6개월(평소 급여의 35%지급) 대기발령을 냈다. 그리고 대구은행이 약속한 DGB인권센터를 8월 1일 설립하고 지점장급 2급 여성을 센터장으로 부부장급 남성1명과 여성 1명을 배치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제대로 된 해결책이 아니라 ‘했다’는 진정성이 결여된 ‘보여주기’라는 것”이라며 대경여연과 대구시민연대가 다시 일어선 것이다.

강혜숙 대경여연 공동대표는 “성추행사건이 일어나면 먼저 내부에서 징계를 내리는데 대구은행은 노동부나 경찰조사 이후 징계처분을 내렸다. DGB인권센터설치도 이전과 비교하면 진일보한 조치이지만 전문가도 아닌 은행 내부에서의 센터장 임명이 과연 제 기능을 할 수 있을지 두고 볼 일”이라고 지적했다.

남은주 대구시민연대공동대표도 “전직원에 대한 치유적 접근의 직장내성희롱예방교육과 외부전문가가 참여하는 성희롱실태조사가 있어야하는데 대구은행은 교육대상에 150명, 실태조사는 인권센터와 노조가 직접 하겠다는 입장이다. 이런식이라면 대구은행의 직장내성희롱피해 규모를 알수없고 대책도 마련하기 어렵다. 특히 인권센터와 노조에서 실태조사를 한다면 불이익을 받을지도 모르는데 누가 사실을 말하겠냐. 외부전문가가 포함된 인권센터 운영을 주장한 이유도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고 재발방지를 위함이었으나 이를 무시했다. 이는 대구은행이 문제해결의지가 없다고 보여진다”며 갑갑해했다.

대구은행은 3000명이 넘는 직원을 두었지만 직장내 고충처리위원회 조차 없어 성추행사건을 인사부 감찰팀이 조사했다. 이는 가장 기본적인 시스템조차 갖추지 않은 구조적인 문제가 성희롱 사건을 지속적으로 발생하게 한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장지혁 대구참여연대 정책팀장은 “대구시민들은 지금까지 지역기업이라는 이유로 대구은행을 이용해 왔다. 앞으로는 대구시와 모든 공공기관들은 대구은행을 이용하기전 노동지수와 성평등지수를 보고 거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