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숙직이 성평등 이끈다?’ 보도 이후
댓글·SNS·이메일로 다양한 의견 쏟아져
“권리만 누리고 의무는 회피한다”는 비판부터
“페미니즘 없는 양성평등 정책”이라는 지적,
“숙직이 얼마나 세금 낭비인지 보라”는 제보도

지난 12일 ‘여성 숙직이 성평등 이끈다?’라는 제하 기사에는 40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여성신문
지난 12일 ‘여성 숙직이 성평등 이끈다?’라는 제하 기사에는 40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여성신문

 

서울시가 내년부터 여성 공무원도 숙직 업무에 투입하기로 하고 12월부터 시범 운영에 들어갔다. <여성신문>은 지난 12일 ‘여성 숙직이 성평등 이끈다?’(http://www.womennews.co.kr/news/183176)라는 제하 기사에서 서울시가 “양성평등의 견인책”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숙직 업무를 여성 공무원도 맡게 했다는 사실을 알리며, 업무 효율성 차원에서 바람직하다는 의견과 함께 현실적인 문제를 들어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 이후 4000개 넘는 댓글이 달렸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도 기사 내용을 두고 갑론을박이 펼쳐졌다. 기자 이메일로도 기사를 비판하는 독자들의 의견과 함께 후속 기사를 원한다는 의견과 함께 제보도 이어졌다.

“‘양성평등’ 원하면 숙직도 ‘양성평등’하게”

16일 오후 2시 기준 네이버에는 4617개 댓글이 달렸다. 댓글 작성자의 85%가 남성이었고 연령별로는 30대가 37%로 가장 많았다. ‘공감’을 많이 얻은 댓글은 대부분 ‘숙직도 업무니 여성과 남성이 동등하게 해야 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똑같이 일 할 자신이 없으면 아예 하지 마세요”, “‘일부’ 여성분들의 반응을 보니 호의가 지속되면 권리인줄 안다는 말은 여전히 진리네요” 등이 많은 호응을 얻었다.

숙직제도에 대한 문제제기에 대해선 “이래서 회사들이 여성을 기피하는 것”, “당직수당 다 받으니 이런데서 남녀임금차이 나는 것”이라고 비난하는 댓글도 상당수였다.

“이*들은 왜 징병 안하는지 도무지 이해 못하겠다”, “생리통 때문에 숙직날 생리휴가 낸다, 또 이**들” 등 기사 내용과는 관련 없지만 성평등 관련 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댓글도 많았다.

“‘성평등 견인’하려면 승진·성폭력 문제 해결이 우선”

한편으로는 숙직제 개편안을 ‘양성평등의 견인책’이라고 홍보한 서울시 행정을 지적하는 반응도 많았다.

“여성 간부 비율, 성폭력 문제 해결은 하지 않고 성평등이라며 힘든 일만 여성에게 떠넘긴다”, “집안일과 자녀돌봄도 여성과 남성이 똑같이 하고, 안전 보장도 평등하게 보장됐을 때 여성 숙직을 성평등 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것 아니냐”, “성평등 일환이 아니라 ‘기계적 중립’일 뿐”이라는 댓글들이 있었다.

이와 함께 “숙직 자체를 없애면 된다. 숙직 목적이 뭐냐?”는 지적과 “공무원 숙직은 남녀 이슈가 아니라 세금 낭비 관점에서 보라”는 제안도 나왔다. 이 독자는 “밤에 민원이 얼마나 들는지 행정직 공무원이 처리할 수 있는 건인지, 밤새 공무원들이 뭘 하는지 알아보라”며 “이런 것만 줄여도 세금을 덜 걷어도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서울시는 남성 공무원이 담당했던 숙직 업무를 여성공무원도 맡게 하는 개선안을 내년부터 시행한다고 지난달 29일 밝히고 12월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서울시에 따르면 본청 기준 전체 당직 대상자(5급 이하)는 4078명으로, 이 가운데 남성이 2466명(60%), 여성이 1612명(40%)를 차지한다. 그동안 숙직(남성)은 9개월, 일직(여성)은 15개월 주기로 순번이 돌아왔으며 사업소(전체 당직 대상자 3503명)는 남성(2155명, 62%)이 40일, 여성(1348명, 38%)이 63일 주기로 당직을 섰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