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필균 사무금융우분투재단 이사장
비정규직 문제 해결 위해
노사 사회연대기금 80억원 조성
우분투 뜻은 ‘내가 곧 우리’
공동체와 연대 정신 상징
여성노동자 41.5%는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중기 금리 감면·
비정규직 위한 연대임금 협상안도

지난 12일 출범한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의 초대 재단 이사장을 맡은 신필균 복지국가여성연대 대표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6월 12일 출범한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의 이사장을 맡은 신필균 복지국가여성연대 대표.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사무금융 분야 노사가 비정규직 문제를 풀기 위해 손을 잡고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을 설립했다. 우분투(Ubuntu)는 아프리카 코사족 말로 ‘네가 있어 내가 있다. 나는 곧 우리’라는 뜻이다. 공동체와 연대 정신을 상징한다. 6월 12일 공식 출범한 사무금융우분투재단 이사장은 신필균 복지국가여성연대 대표가 맡았다. 신 이사장은 “갈등과 분열이 심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노사가 손을 잡고 사회연대기금을 조성했다”며 “상생과 공생의 우분투 정신으로 사무금융 노사를 넘어 사회 전반에 연대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이사장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총장,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이사장을 지냈고 현재 복지국가여성연대 대표를 맡고 있다. 스웨덴 사회보험청과 스톡홀름광역시 의회에서 복지관련 행정과 연구 활동을 해온 복지 전문가로 사회적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다.

‘차별 없는 일터, 함께 잘사는 사회’를 비전으로 내건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은 △비정규직 격차 해소 △비정규직 실태조사 및 보호연구 확대 △이직자 재취업 및 사회보험료 대납 지원 △우분투 마이크로크레디트(중소기업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시 대출금리 인하) △금융소외 청년 지원 △플랫폼 노동자의 노동환경 개선 등을 하게 된다. 재단은 첫 사업으로 지난 6월 6일 한국장학재단에 사무금융 분야 비정규직 종사자의 대학생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장학금 1억5000만원을 전달했다. 정규직 임금을 비정규직과 나누는 연대임금도 실천하겠다는 방침이다.

재단에는 KB증권, KB국민카드, 애큐온저축은행, 교보증권, 하나외환카드, 신한생명, 비씨카드, 한국예탁결제원, KB캐피탈, 한국증권금융, 더케이손해보험, 한국교직원공제회 노사가 참여했다. 이들은 공동으로 기금을 출연해 2021년까지 80억원 기금을 출연하기로 약정했다.

신 이사장은 “비정규직은 이제 신분제로 고착화 되고 있다”며 “재단은 노동시장에서의 극심한 차별이 발생하는 소득 불평등 문제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2일 출범한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의 초대 재단 이사장을 맡은 신필균 복지국가여성연대 대표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의 이사장을 맡은 신필균 복지국가여성연대 대표.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여성노동자 5명 중 2명은 비정규직이다. 고용노동부의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자료를 보면, 지난해 여성노동자 중 비정규직 비율은 41.5%로 남성(26.3%)보다 60% 가량 높았다. 사무금융 분야도 상황은 비슷한다. 사무금융노조 지부 중 48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지난해 뽑은 정규직 신입사원 중 여성은 45.8%인 반면, 비정규직으로 채용한 신입사원(743명) 중 여성 비율은 70%에 달했다. 결국 비정규직 문제 해결은 여성노동자가 겪는 열악한 처우, 성별 임금격차 등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문제와도 연결된다. 신 이사장은 제도 개선과 함께 노사가 연대를 통해 여성친화적 조직 문화 정착, 성폭력 예방 가이드라인을 만들며 차별에 대한 인식도 바꿔가며 조직 문화도 변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재단은 현재 진행 중인 비정규직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비정규직 처우 개선과 노동자 간 양극화 해소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사업 중심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 위한 보고서에 집착하기 보다는 지속적인 연구조사를 통해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스스로 검증하는 단계를 밟아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신 이사장은 “성장과 복지의 선순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노동시장에서의 1차 분배의 공정성 확보는 선진 대열에 설 수 있는 기본조건”이라며 “노동시장 구조 바꾸지 않고서는 절대로 양극화 해소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기금 출연과 사회적 연대를 당위성을 설명하면서 노동자와 회사가 무엇을 얻고, 무엇을 양보할 수 있는지 상생 방법을 찾아 설득해나가겠다”며 “나아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도 강조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