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집계 후 처음
근로소득 감소폭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재난지원금 효과 뺀 시장소득 기준 5분위배율, 악화

서울 송파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취업성공 일구데이'에서 거리를 두고 앉아 있다. ⓒ뉴시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리어스 감염증) 영향으로 올해 2분기 근로·사업·재산소득이 일제히 감소했다. 재난지원금 지급에 소득분배 지표가 다소 개선됐으나 재난지원금 효과를 뺀 소득분배 지표는 오히려 악화해 코로나19 양극화가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전체 소득이 527만2000원으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지만 근로소득(322만원), 사업소득(94만2000원), 재산소득(3만4000원) 등이 각각 5.3%, 4.6%, 11.7%가 줄었다. 가계 살림살이를 보여주는 세 가지 지표 모두 사상 처음으로 동시 감소했는데 이는 2003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가계 소득에서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모든 소득 분위에서 감소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실직 등 근로자 가구 비중이 줄어들고 근로시간 감소, 수당 삭감, 임금상승 지체 등이 반영된 결과다. 지난 1, 2분기 GDP 성장률이 –1.3%, 02.3%로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해 경기가 후퇴하기도 했다.

자영업자 소득으로 불리는 사업소득도 소득 2분위(하위 20~40%) 제외하고 모두 감소했다. 사업소득은 전년 동기보다 4.6%가 줄어 2003년 이래 가장 크게 감소했다. 음식, 숙박, 교육, 도소매, 예술 스포츠 등 자영업 업황이 타격받은 데 따른 영향이다.

재산소득도 소득 상위 20~40% 계층인 4분위(3만원)를 제외하고 줄었다.

그럼에도 전체소득이 늘어난 데는 지난 5월 지급된 전국민재난지원금 영향이 크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부터 상위 20% 5분위까지 무상으로 13조2000억원 규모로 지급한 재난지원금이 포함된 이전소득(98만5000원)은 지난해보다 80.8%가 증가했다. 공적이전소득은 77만7000원으로 127.9%가 늘었다.

공적 이전소득에는 공적연금(국민, 공무원연금 등)과 기초연금(노령연금 등), 사회수혜금(근로장려금, 아동수당) 등이 있다. 사회수혜금에 배치된 재난지원금은 전체 공적연금에서 64.8%를 차지했는데 지난 1분기(28.8%)에 비하면 2배 이상 늘었다.

공적이전소득을 제외한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49만5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69만1000원)보다 4.1% 감소했다

분배 지표를 보여주는 균등화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4.23배를 기록해 전년 같은 기간(4.58배)보다 0.35배 포인트가 개선됐다. 2015년 2분기 이후 가장 낮다. 5분위 배율은 상위 20%의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을 하위 20%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낮을수록 분배가 완화된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재난지원금 효과를 빼고 소득분배 상황을 나타내는 ‘시장소득’ 기준 5분위 배율은 8.42배다. 작년 2분기(7.04배)보다 1.38배가 커져 악화됐다. 재난지원금 지급으로 공적이전소득이 늘고 고소득층(5분위)의 근로소득 감소폭이 1분위보다 컸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인데, 재난지원금 효과가 사라지는 3분기를 대비해 민간 경기 활력을 되찾을만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3분기 소득, 분배 여건이 여전히 엄중하다는 인식을 아래 고용과 사회안전망을 지속 확충하고 시장소득 회복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정책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