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여성정책개발원 진혜민 연구위원이 ‘경북형 종합 돌봄체계 방안 연구’를 통해 초등돌봄 공백 해소와 지역사회 돌봄서비스를 컨트롤하기 위해 도단위 마을돌봄지원센터(가칭. 이하 센터) 설치‧운영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마을돌봄지원센터의 주요 기능으로는 돌봄서비스 컨트롤타워, 돌봄공동체네트워크 운영, 조사‧연구, 코디네이터 직무 연수 및 마을돌봄지원단 양성 등이다.

진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는 국내 맞벌이 가구 비중이 전국 46.3%, 경북 53.5%로 전년대비 각 1.7%p, 1.4%p 증가한 가운데(통계청, 2018), 초등 방과 후 돌봄 사각지대 문제에 대한 공감대 확산으로 경북지역 특성을 반영한 마을돌봄활성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되었다”며 “경북형 종합 돌봄체계 구축을 위해 지리적‧인구적 특성과 돌봄서비스 수요, 지역사회 자원 여건을 고려해 3가지 유형로 구분하고, 지역 유형에 따른 마을돌봄터 운영의 차별성과 운영 형태의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3가지 유형은 △A유형(지역사회 자원 연계‧협력형) : 포항, 구미, 경산 △B유형(지역사회 자원 개발형) : 경주, 안동, 칠곡, 김천, 예천, 영주, 상주, 영천, 문경 △ C유형(공공서비스 제공형) : 청송, 군위, 영양, 울릉, 성주, 의성, 청도, 영덕, 고령, 봉화, 울진 (지역사회 자원 연계‧협력형, 지역사회 자원 개발형, 공공서비스 제공형)이다.

수요자 맞춤형 돌봄서비스 강화를 위해서는 아동 돌봄서비스 수요-공급의 적정성 강화, 마을돌봄 포털시스템 구축 및 활용, 수요자 맞춤형 안심이동서비스 운영, 긴급돌봄 지원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최미화 경북여성정책개발원장은 ”경북형 종합 돌봄체계 구축‧운영을 통해 수요자 맞춤형 돌봄서비스 강화와 지역사회 연계‧협력을 통한 돌봄서비스 활성화가 추진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경북형 종합 돌봄체계 방안 연구’보고서
‘경북형 종합 돌봄체계 방안 연구’보고서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