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13일 인종·젠더 등 혐오발언 대응 원칙 공개
‘악플 온상’으로 지목됐던 카카오 플랫폼
“2020년부터 대응정책 연구...기업의 디지털 책임 노력”
인권위 “환영...다른 온라인 포털도 동참하길”

 

카카오가 국내 기업 최초로 온라인 혐오표현 대응 원칙을 발표했다. 최근 국내 스타트업이 만든 AI 챗봇이 인간의 혐오·차별 발언을 학습하고 그대로 따라해 사회적 물의를 빚은 직후 나온 정책이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카카오의 발표를 환영하며 “여러 온라인 포털과 커뮤니티들도 자율규범 마련에 동참해 혐오표현을 용납하지 않는 문화를 만들어 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13일 공식 브런치를 통해서 ‘증오발언 근절을 위한 카카오의 원칙’을 공개했다.  ⓒ카카오
카카오는 13일 공식 브런치를 통해서 ‘증오발언 근절을 위한 카카오의 원칙’을 공개했다. ⓒ카카오

카카오는 13일 공식 브런치를 통해서 ‘증오발언 근절을 위한 카카오의 원칙’을 공개했다. 자사 운영 원칙도 개정했다.

먼저 △출신 국가나 지역, 인종, 외양 장애 및 질병 유무, 사회 경제적 상황 및 지위, 종교, 연령, 성별, 성 정체성, 성적 지향 또는 기타 정체성 요인을 이유로 특정 대상을 차별하거나 이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며 일방적으로 모욕하거나 배척하는 행위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또 △이러한 차별에 기반해 특정인과 특정집단을 공격하는 발언을 증오발언으로 정의하고 강경하게 대처하겠다고 했다.

△이용자들의 책임도 강조했다. 이용자는 카카오 서비스 내 공개된 공간에서 특정인과 특정 집단에 대한 폭력을 선동하거나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발언에 유의해야 한다. 타인의 존엄성과 안전을 위협하지 않는 한 여전히 공공정책이나 자신의 신념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카카오는 증오발언 근절을 위해 정책, 기술, 서비스 기획 및 디자인을 고도화하고, 사내교육과 모니터링을 강화해 내부로부터 차별과 증오발언을 경계하기로 했다.

이 원칙은 공개 게시물에만 적용된다. 카카오는 “카카오톡 사적 대화공간, 메일, 톡서랍 등 개인화 서비스와 커뮤니티 비공개 게시글 등에는 프라이버시 존중을 최우선 가치로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악플 온상’으로 지목됐던 카카오 플랫폼
“2020년부터 대응정책 연구...기업의 디지털 책임 노력”

카카오는 “온라인 증오발언 대응책 필요성에 대한 국내외 공감대가 높아지고 있다. 카카오 역시 사회 구성원으로서 디지털 공간을 보다 건강하게 만들기 위한 증오발언 대응 원칙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2017년 구하라씨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린 설리씨와 찍은 사진. 절친했던 설리씨의 죽음 직후 구하라는 SNS 라이브에서 “그곳에서 정말 네가 하고 싶은 대로 잘 지내. 언니가 네 몫까지 열심히 살게, 열심히 할게”라고 했지만 그 역시 40여일만에 세상을 떠났다. ⓒ구하라 인스타그램 캡처
2017년 고(故) 구하라씨가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올린 설리와 찍은 사진. 절친했던 설리의 죽음 직후 구씨는 SNS 라이브에서 “그곳에서 정말 네가 하고 싶은 대로 잘 지내. 언니가 네 몫까지 열심히 살게, 열심히 할게”라고 했지만 그 역시 40여일만에 세상을 떠났다. ⓒ구하라 인스타그램 캡처

2019년 말부터 고(故) 설리, 구하라씨 등 연예인들의 사망으로 온라인 악플 등 혐오표현 대응이 중요 문제로 떠올랐다. 카카오, 네이버 등 온라인 포털 뉴스 댓글창은 악플의 온상지로 지목돼왔다. 카카오는 2019년 10월 연예뉴스 댓글창을 폐쇄했고, 지난해 8월 스포츠뉴스 댓글 서비스를 종료했다.

이후 카카오는 혐오표현 개념을 정립하고 온라인 자율대응 방안을 찾기 위해 2020년부터 자체 미디어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인권위, 한국언론법학회 등과 함께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증오발언 대응 원칙 발표는 김범수 카카오 이사회 의장이 12일 ‘ESG 위원회’(Environment·Social·Governance, 환경·사회·지배구조 측면에서 기업의 책임을 요구하고 평가)를 신설하고 직접 위원장을 맡은 후 첫 행보이기도 하다.

 

인권위 “환영...다른 온라인 포털도 동참하길”

인권위는 14일 성명을 발표하고 “그동안 온라인 포털사이트, 게시판, 소셜미디어 등에서 혐오표현이 퍼져도 대응 기준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아 대응이 쉽지 않았다”며 환영했다.

또 “이러한 사업자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사회적 소수자, 시민사회 등을 포함한 온라인 이용자 모두가 온라인 혐오표현에 대응하는 지혜를 모으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여러 온라인 포털과 커뮤니티들도 혐오표현 근절 자율규범 마련에 동참하기를 기대한다. 인권위가 지원하고 적극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