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가 내려다 보이고 있다. ⓒ뉴시스
5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가 내려다 보이고 있다. ⓒ뉴시스

강남구의 대표적인 재건축 단지인 대치동 은마아파트의 실거주 비율은 지난해 31%에 불과했지만, 매매가격은 21억원(34평형 기준)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 주요 4개 아파트 단지의 실거주 비율은 감소한 반면 단위면적당 가격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도시연구소가 국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은마아파트, 마포구 마포래미안푸르지오아파트, 노원구 상계주공5단지아파트, 용산구 한가람아파트 등 4개 단지 1만1155건의 등기부등본(2020년 8월 31일 기준)을 발급받아 이를 토대로 소유 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4개 단지의 평균 실거주 비율은 32.7%였다. 마포래미안(41.8%), 은마(31.5%), 한가람(29.1%), 상계주공5단지(12.5%) 순이었다.

이들 모두 초기 분양 시점 이후 실거주 비율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은마는 1999년 58.8%로 절반 이상이었으나 2005년 51.1%, 2010년 45.5%, 2015년 36.6%로 지속 감소했다. 마포래미안은 2015년 48.3%였지만, 2018년 이후 연간 2%포인트 이상 큰 속도로 줄었다.

4개 단지 소유주의 평균 나이는 45.6세였다.

연령대는 40대가 33.4%로 가장 비중이 컸고, 30대(28.3%), 50대(22.1%), 60대(7.9%), 29세 이하(4.8%), 70세 이상(3.5%) 순이었다.

은마(40.5%)와 상계주공5단지(28.9%)는 40대 비율이 가장 높았고, 마포래미안(30.1%)과 한가람(34.9%)은 30대 비중이 가장 높았다.

실거주하지 않는 소유주들은 대부분 해당 아파트 주변에 살고 있었다.

은마 소유주들은 서울 강남구(33.8%), 송파구(7.2%), 서초구(7.1%) 등에 주거했고, 마포래미안 소유주는 서울 마포구(22.0%), 서대문구(4.6%), 영등포구(4.1%) 등에 살았다.

서울에 68.0%, 인천·경기까지 합치면 85.7%였다.

소유권 이전 사유는 매매 비율이 가장 높았고, 2017년 이후 증여·상속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은마의 경우 증여·상속 건수가 2019년 43건(17.3%)에서 지난해 81건(55.1%)으로 크게 증가했다. 1999년 이후 처음으로 증여·상속 건수가 매매 건수(65건·44.2%)를 넘어섰다.

20∼30대 소유주로 좁혀보면 은마의 경우 지난해 상속·증여 비율이 75.4%로 매매 비율(24.6%)보다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가람도 52.2%로 매매(47.8%)보다 높았다. 마포래미안과 상계주공은 각각 26.3%, 28.6%였다.

2016년 이후 4개 단지 등록임대주택 소유주의 취득 시기는 2018년(28.9%) 비율이 2017년(35.5%)보다 낮았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