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xabay
ⓒPixabay

국민 2명 중 1명은 현재 동물학대의 처벌 수준이 약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법적 처벌'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2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0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현재 동물학대 처벌 수준에 대해 '약함' 응답이 48.4%로 가장 높았으며 보통(40.6%), 강함(11.0%) 순이었다.

구타, 방화 등 동물을 물리적으로 학대하는 행위는 96.3%가 '처벌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외에도 모든 항목에서 과반의 응답자가 '법적 처벌'이 필요하다고 봤다.

동물학대 목격 시 행동으로 '국가기관(경찰·지자체) 등에 신고한다'(53.4%), '동물보호 단체 등에 도움을 요청한다'(48.4%), '학대자에게 학대를 중단하도록 직접 요청한다'(23.4%)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반려동물 양육률은 전체 응답자의 27.7%로 전국 추정 시 2304만 가구 중 638만 가구로 조사됐다.

2019년(591만 가구)보다 47만 가구 늘었다.

반려견은 602만 마리, 반려묘는 258만 마리, 합쳐서 860만 마리 키우는 것으로 추정된다.

 

ⓒPixabay
ⓒPixabay

반려동물 입양경로는 지인간 거래(무료 57.0%·유료 12.1%)가 69.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펫숍 등 반려동물 관련 영업자 이용이 24.2%였으며 동물 보호시설에서 입양은 4.8%에 그쳤다.

반려동물 입양비용은 평균 41만2000원을 추정되며 반려견은 평균 44만원, 반려묘는 43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개, 고양이 외에도 햄스터·토끼·앵무새 등을 포함한 반려동물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용은 11만7000원으로 조사됐다.

반려견만 보면 월평균 양육비용은 17만6000원이었으며 반려묘는 14만9000원이었다.

응답자의 28.1%는 키우는 반려동물을 양육 포기 또는 파양하고 싶었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포기 또는 파양 고려 이유는 '물건 훼손, 짖음 등 동물의 행동문제' 응답이 29.4%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이사·취업 등 여건 변화(20.5%), 예상보다 지출이 많음(18.9%), 동물이 질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함(14.0%) 등이 뒤따랐다.

반려동물 소유자 의무교육 도입에 대해 '필요하다'는 응답은 전체의 86.7%에 달했다.

 

ⓒPixabay
ⓒPixabay

한편, 정부는 동물보호·복지 제도에 대한 인식 및 반려동물 양육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06년부터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해 전국 만 20~64세 성인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양육 여부, 반려동물 관련 제도·법규 인식, 동물학대에 대한 태도, 반려동물 입양 및 분양 등 8개 분야, 총 75개 항목을 조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39%포인트(p)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