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3분위. 가처분 소득 증가율 가장 낮아

코로나19 불확실성 가장 크게 노출

4일 오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지난해 부유층은 소비를 거의 줄이지 않은 반면 중산층이 소비 감소를 주도했다.

빈곤층은 오히려 지출이 늘었다.

17일 한국개발연구원(KDI)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가계소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가구의 지출은 2.8% 감소했다.

그중 소득 상위 40~60%에 해당하는 3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감소폭이 6.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소득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감소율이 4.2%, 소득하위 20~40%인 2분위 가구는 3.3%였다.

소득 상위 20%까지인 부유층의 소비는 0.8% 줄어드는데 그쳤다.

소득 하위 20%인 빈곤층은 유일하게 소비가 2.8% 늘었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의 경우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재산소득을 합산한 시장소득이 지난해 6.1% 줄었으나 정부의 재난 지원금 등이 반영된 공적 이전과 세금 등 비소비지출까지 감안한 가처분 소득은 7.5% 늘었다.

코로나19의 타격을 가장 크게 받았지만 정부의 보편·선별 지원금을 받아 평균소득이 늘었고 이는 지출을 더 늘릴 수 있는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2분위 역시 시장소득이 1.9% 줄었지만 가처분소득이 4.6% 늘었다.

이에 비해 3분위는 시장 소득이 2.7% 줄어든 가운데 가처분소득은 2.0% 늘어나는데 그쳤다.

4분위 역시 시장소득이 1.2% 줄어든 상황에서 가처분 소득은 2.2% 느는데 그쳤다.

3분위와 4분위 모두 전체가구 평균 가처분소득 증가율인 3.3%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3분위는 가처분 소득 증가율이 소득 5분위 중 가장 낮았다.

KDI는 "중간소득 계층인 3분위와 4분위가 코로나19에 따른 실질적인 충격과 불확실성에 가장 크게 노출됐다"면서 "중산층들은 소비지출을 큰 폭으로 줄이고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 저축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