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이상 요실금 환자 10년 새 2.5배↑…"제때 치료 필요"
60대 이상 요실금 환자 10년 새 2.5배↑…"제때 치료 필요"
  • 전성운 기자
  • 승인 2021.06.22 11:21
  • 수정 2021-06-22 11: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Pixabay
ⓒPixabay

고령화 시대로 들어서면서 60대 이상 요실금 환자가 10년 전보다 2.5배 늘었다.

22일 미즈메디병원은 2011년~2020년 요실금 환자 5812명의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이 47.4%의 비율을 차지했다.

2011년(21.9%) 대비 2.5배 늘어난 셈이다.

50대 이하의 경우 2011년도에는 전체 요실금 환자의 78.1%를 차지했는데 2020년에는 52.6%로 낮아졌다.

연령대별로 50대가 32.5%로 가장 많았고 40대 23.7%, 60대 22.6% 순으로 나타났다.

미즈메디병원은 "보통 40대 후반 50대 초반 갱년기를 겪고 난 후에 많이 나타났던 요실금이 고령화가 되면서 60대에 나타나게 되고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아진다"고 설명했다.

요실금은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소변이 배출되는 증상을 말한다.

소변이 몸 밖으로 나오는 상황이 신체적으로 크게 위해를 주지는 않지만 증상이 심각해지면 사회생활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많다.

심리적으로 위축돼 스스로 대외활동을 꺼리거나, 심하면 우울증을 앓게 되는 이들도 있다.

요실금의 종류는 다양한데 전체 환자 중 90% 이상은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에 속한다.

복압성 요실금은 골반 근육이 약화해 기침하거나 웃을 때 뛰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소변이 새어 나오는 증상을 말한다.

절박성 요실금은 방광의 신경이 불안정해지면서 소변이 마려울 때 느껴지는 요의(尿意)가 느닷없이 찾아와 이를 참지 못하고 소변을 지리는 증상을 말한다.

복압성 요실금과 절박성 요실금은 비슷해도 원인이 달라 치료 방법도 차이가 있다.

복압성 요실금이 고장 난 수도꼭지를 고치는 데 초점을 맞춘다면 절박성 요실금은 상수도 펌프가 제대로 조절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다.

복압성 요실금의 경우 물리치료 또는 인조테이프를 이용한 수술(TOT, TVT 수술)로 95% 이상의 증상 개선 효과가 있다.

수술시간도 20~30분 정도이고 하루만 입원하면 된다.

방광이 예민해서 생기는 절박성 요실금의 경우 약물치료로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

병원 측은 "요실금을 노화 현상으로 생각하고 우울해하기만 하는 것은 삶의 질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며 "상태에 맞게 제때 치료한다면 건강한 시니어로서 즐거운 노년을 보낼 수 있다"고 조언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