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DI, ‘팬데믹 시대의 디지털 양성평등’ 보고서 발간
인터넷 사용률 성별격차 여전…저소득 국가일수록 심각
아프리카 인터넷 사용률, 여성 20.2%·남성 37.1%
한국도 여성은 89.7%·남성 94%

스마트폰을 사용 중인 여성의 모습. 사진은 기사와 무관. ⓒpixabay

코로나19로 인터넷 이용 수요가 늘었지만, 인터넷 이용률에는 여전히 성별격차가 존재하며, 저소득 국가일수록 격차가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진선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전문연구원은 7월 발간한 ‘팬데믹 시대의 디지털 양성평등’ 보고서에서 이러한 분석을 제시했다. 

진 연구원은 국제전기통신연합의 ‘2020년 디지털 개발 측정 보고서’를 인용하며 “인터넷 사용이 증가하는 만큼 성별 정보격차도 명확해지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전 세계 남성의 55%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반면, 여성은 48%만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격차는 개발도상국에서 더욱 벌어졌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남성의 37.1%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반면, 여성은 20.2%만 인터넷을 이용해 그 격차가 17%에 이르렀다.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특히 남성의 37.1%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반면, 여성은 20.2%만이 인터넷을 이용해 그 격차가 17%에 이르렀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0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남성의 인터넷 이용률은 94%인 반면, 여성은 89.7%다. 남성의 인터넷 이용률이 여성보다 4.3%p 더 높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여성들의 인터넷 사용률이 적은 이유에 대해 “다수의 개도국에서 여성들의 휴대전화 소유나 인터넷 사용을 반대하는 주요 이유 중 하나가 온라인 폭력 등에 노출될 우려 때문이다. 이러한 온라인 안전에 대한 우려가 중남미에서 여성의 모바일 인터넷 활용의 가장 큰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알제리,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등 다수의 중·저소득 국가에서 여성이 모바일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가족의 허락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중·저소득 국가에서 인터넷 이용의 성별 격차는 △모바일 뱅킹 △전자상거래 △온라인 학습 △온라인 농업기술 △보건 서비스 △성폭력 퇴치를 위한 앱 등에 대한 여성의 제한된 접근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 연구원은 “디지털 배제와 디지털 불평등으로 많은 여성과 소녀들이 불이익을 받는 상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코로나19 대응 정책과 조치에 양성평등 관점을 반영해야 한다”면서 “성별격차 해소 관점을 포함하려는 정부, 공공기업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