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에 이어 전국도 주택을 팔려는 사람이 사려는 사람보다 많아지면서 매수심리가 위축되고 있다.
1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2월 첫째 주(6일 기준) 전국의 주택 매매수급지수는 99.2로 지난주(100.1)보다 0.9포인트 떨어졌다. 지난해 6월22일(99.9) 이후 약 17개월 만에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서울의 매매수급지수는 96.4로 4주째, 수도권은 98.2로 2주째 기준선인 100 이하를 밑돌고 있다.
매매수급지수는 0~200 사이에서 0에 가까울수록 을 팔려는 '매도자'가 사려는 '매수자'보다 많음을 나타내며, 200에 가까울수록 '매수자'가 '매도자'보다 많음을 뜻한다.
집값이 하락하고 있는 세종(93.4→88.1)은 지난주보다 5포인트 넘게 떨어지며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역시 하락세인 대구(89.4→88.7)가 두 번째로 낮았다. 부산(98.6), 울산(97.3), 전남(94.2)도 기준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최근 집값이 크게 오른데다 금융권이 주택담보대출 제한 등 가계부채 총량관리에 나서면서 매수세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서울에서는 전세수급지수(99.1)도 2019년 10월21일(99.9) 이후 약 26개월 만에 100 아래로 낮아지며 공급이 수요를 앞섰다.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의 전세수급지주는 100으로 보합세를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