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1525차 정기 수요시위

5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정의기억연대가 '제 1525차 수요시위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홍수형 기자
5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정의기억연대가 '제 1525차 수요시위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홍수형 기자

일본군 성노예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수요시위)가 올해로 30주년을 맞았다.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는 5일 주한 일본대사관 앞 평화로에서 1525차 정기 수요시위를 열고 “문제 해결의 그날까지 변함없이 평화로에 서서 외칠 것”이라고 밝혔다. 일 년 중 가장 춥다는 소한(小寒)이지만  많은 시민이 이 날 집회에 참석했다.

수요시위는 지난 1992년 시작돼 이 날 30주년을 맞았다. 첫 시위는 1992년 1월 8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현 정의기억연대) 회원 30여명이 미야자와 기이치 당시 일본 총리의 방한을 비판하며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었다. 이후 1995년 일본 고베 대지진 때를 제외하고 일본대사관 소녀상 앞에서 매주 수요일 빠짐 없이 열렸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먼저 집회를 신고한 보수 성향 단체가 소녀상 앞자리를 선점하면서 소녀상에서 오른쪽으로 50m 가량 떨어진 곳에서 열리고 있다.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이 자리에서 “수요시위 30주년을 맞았다. 기막힌 세월, 믿기지 않은 시간”이라며 “누가 알았을까. 30년 시간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가 사죄는커녕 퇴행만 거듭하고 있을 줄”이라고 지적했다. 이 이사장은 “30년 세월 동안 무시와 좌절은 각성과 용기로 바뀌고 치욕과 아픔, 고통과 울분은 연대와 사랑의 힘으로 치유됐으며, 의혹과 시련의 순간들은 희망과 평화의 시간으로 승화됐다”며 “일본군성노예제 문제가 해결되는 그날 수요시위의 오랜 문이 비로소 닫히고 역사의 장에 깊이 새겨질 것을 믿는다. 그날이 올 때까지 우리는 변함없이 평화로에 서서 외칠 것”이라고 말했다.  

5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정의기억연대가 '제 1525차 수요시위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홍수형 기자
5일 서울 종로구 연합뉴스 사옥 앞에서 열린 ‘수요시위 30주년 기념, 일본군성노예제 문제해결을 위한 1525차 정기 수요시위’에서 참석자들이 관련 피켓을 흔들고 있다. ⓒ홍수형 기자

 

이용수 할머니 “국제사법재판소 아닌 유엔 고문방지협약 갈 것” 

이용수 할머니는 영상을 통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추우나 더우나 아랑곳없이 수요시위에 나와 단상 위에 올라가 얘기하는 분을 보면 감사하다”며 “저는 ICJ(국제사법재판소)로 안 가고 유엔 고문방지협약(CAT)으로 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본이 가지 않아도 되고 저와 문재인 대통령이 가야 한다”며 “고문방지협약으로 갈 때도 여러분이 수요시위에 나오는 것처럼 마음을 협력해주시면 된다”고 강조했다.

여는 노래에서 율동 퍼모먼스를 선보인 진보대학생넷은 “역사와 진실이 혐오 세력에 의해 감춰질까 봐 두렵다”며 “대학이라는 교육 공간에서 어떤 교수는 학문의 자유라는 명분 아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를 폄훼하고 역사를 부정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산되지 않은 과거는 미래에 반복될 수 있다”며 “우리의 문제를 인식하고 함께 맞서 싸워야 한다”고 했다.

5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정의기억연대가 '제 1525차 수요시위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홍수형 기자
5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정의기억연대가 '제 1525차 수요시위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홍수형 기자

김재연 대선후보 “수요시위 30년은 ‘신발 끈을 다시 묶는 날’”

자유발언에서 김재연 진보당 대선후보는 “수요시위 30년은 ‘신발 끈을 다시 묶는 날’”이라며 “우리는 30년 동안 열심히 달렸다. 어떤 사람들은 ‘그만큼 달렸으면 됐다’, ‘과거에 발목 잡히지 말라’며 훈수를 두는데 저는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넘어질 수도 있고 속도를 늦출 수도 있지만 여기에서 절대로 멈출 수 없다”며 “저도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더 큰 힘을 모아 국민들과 함께 힘차게 달릴 수 있도록 신발 끈을 바짝 묶겠다”고 다짐했다.

연대발언에서 원계순 한국교회여성연합회(이하 한교연) 회장은 “가부장제 속에서 수치스러운 여자라는 사회적 낙인과 비난, 강제된 삶의 상처를 쥐고 용감하게 맞서 변화와 성폭력 피해자에 대한 정의 실현을 요구한 할머니들의 외침은 2017년 미투 운동으로 되살아나고 할머니들은 기꺼이 우리 시대의 역사 교사가 됐다”며 “1992년부터 현재까지 정의연 연대 회원 단체로 함께하고 있는 한교연은 일본 정부가 일본군 성노예제 범죄를 인정하고 할머니들께 국제법에 따라 공식 사죄하고 배상하는 그날까지 뜨거운 연대로 역사를 함께 기록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은주 한국여성단체연합 활동가는 “피해생존자들과 같은 시간, 자리를 지키며 한 목소리를 내 온 것이 경이로우면서도 긴 시간동안 문제를 외면하고 지금도 역사를 왜곡·부정하고 있는 일본 정부에 더욱 분노하게 된다”며 “일본의 공식적인 사죄와 배상은 단순히 피해생존자들에게만이 아닌 인류 역사에서 일어난 범죄에 대한 처절한 반성이자 다짐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활동가는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는 시대 과제이자 평화는 성평등한 사회가 확장될 때만 가능하다”며 “한국 정부 또한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수원평화나비 활동을 함께하는 풍물굿패 삶터의 공연과 행진이 이어졌다.

5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정의기억연대가 '제 1525차 수요시위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홍수형 기자
5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정의기억연대가 '제 1525차 수요시위 30주년' 기념식을 개최했다. ⓒ홍수형 기자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