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대 기업 대표이사 45% ‘SKY’ 출신… 여성은 1.7%
500대 기업 대표이사 45% ‘SKY’ 출신… 여성은 1.7%
  • 유영혁 기자
  • 승인 2022.11.02 08:44
  • 수정 2022-11-07 15:34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경복·서울고 등 출신 비중 8.3%로 급감
연도별 500대기업 대표이사 출신 대학.  ⓒCEO스코어
연도별 500대기업 대표이사 출신 대학. ⓒCEO스코어

국내 500대 기업의 대표이사(CEO) 45% 가까이가 이른바 SKY(서울대, 연세대, 고려대)출신으로 조사됐다. 

CEO스코어는 지난달 31일 기준 국내 500대기업 CEO 659명의 출신 이력을 분석한 결과 44.6%(265명)가 서울대·고려대·연세대 출신으로 나타났다. 10년 전 47.1%에 비해 2.5%포인트 줄었지만 여전히 편중됐다.

여성 CEO 비중은 1.7%(11명)로, 10년 전에 비해 0.7%포인트 늘어났지만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지난 10년간 자리를 지킨 여성 CEO로는 조선혜 지오영 대표이사 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등이다.

학교별로는 서울대 출신이 22.9%(136명)로 10년 전에 비해 1.9%포인트 줄었지만 여전히 1위를 고수했했다. 다음은 고려대가 12.5%(74명), 연세대가 9.3%(55명)로 10년째 2, 3위 자리를 지켰다.

지방대 출신은 18.8%(111명)로 10년 새 3.5%포인트 증가했고 외국대 출신도 8.0%(47명)로 0.6%포인트 늘었다.

경기·경복·서울고 등 전통 '명문고' 출신 CEO 비중은 10년 새 22.0%에서 8.3%로 대폭 줄었다. 1974년 고교 평준화 이후 세대들이 경영 일선에 등장하면서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CEO들의 학부 전공은 3명 중 1명이 경영·경제학이었다. 2012년 33.2%(209명)에서 올해는 36.9%(209명)로 3.7%포인트 증가했다. 이공계에서는 화학공학·기계공학 출신이 많았다.

지난 10년간 대기업 CEO들은 오너일가 출신 비중이 줄고 내부승진 및 외부영입 비중이 늘면서 '능력 위주'의 인사가 확산된 분위기다.

오너일가 출신 CEO는 16.2%(99명)로 10년 전에 비해 8.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내부승진자 비중은 53.7%(328명)로 2.6%포인트 늘었고, 외부영입 CEO도 30.1%(184명)로 5.6%포인트 늘었다.

대기업 CEO 평균 연령은 59.0세로, 10년 전에 비해 0.8세 높아졌다. CEO의 평균 연령이 낮은 업종은 서비스(55.0세), 유통(55.3세), 제약(56.2세), 통신(56.7세) 등이다.

대표이사의 출신 지역은 서울과 영남이 각각 30.3%(105명)로 가장 많았다.

해외와 호남이 각각 9.8%(34명), 충청 9.2%(32명), 경기·인천 6.1%(21명), 강원 3.5%(12명), 제주 1.2%(4명) 순이었다. 특히 해외 출신자는 10년 전 6.4%에서 올해 9.8%로 3.4%포인트 늘어나면서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Jin Han Yun 2022-11-02 14:27:17
교과서(국사,세계사), 헌법, 국제법을 못이기는 대중언론.입시지의 한계를 알아야 함. Royal 성균관대, 세계사의 교황반영 교황윤허로 설립이 기획되어 세워진 귀족사제 이나시오의 예수회(교황청의 실세)산하 서강대는, 국제관습법상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성균관대와 서강대만 Royal대며, 일류.명문으로 지속적 제한을 하는게 옳습니다. 패전국 일본 잔재이자, 불교 Monkey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한국영토에 주권.자격.학벌 없어왔음.

https://blog.naver.com/macmaca/222842508991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