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출제위원장 "예년 출제기조 유지...선택과목 유불리 최소화"
수능 출제위원장 "예년 출제기조 유지...선택과목 유불리 최소화"
  • 유영혁 기자
  • 승인 2022.11.17 09:47
  • 수정 2022-11-17 14: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윤봉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박윤봉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박윤봉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이 17일 "예년의 출제기조를 유지하고자 노력했다"며 "특히 고등학교 교육의 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교육과정의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했다"고 말했다.

박 출제위원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전반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학생들의 과도한 수험 준비 부담을 완화하고 학교교육의 내실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현행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유념해 출제했다"고 밝혔다.

수능 출제위원단은 지난해 수능이 어려웠던 이유 중 하나로 EBS 연계율 비중이 축소된 것을 꼽았다. 박 출제위원장은 "(EBS)체감 연계도를 올리는데 많은 노력을 했다"고 밝혔다.

수능 출제위원단은 선택과목 유불리에 따른 고려에도 신경을 많이 썼다고 설명했다. 수능은 국어와 수학, 직업탐구 영역의 경우 공통과목, 선택과목 구조로 이뤄진다. 사회·과학탐구 영역은 영역 구분 없이 최대 2개 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

박 출제위원장은 "다양한 선택성을 가지고 있을 때 과목들 간에서 어떤 편차가 이뤄진다고 한다면 그것은 과목 선택에 있어 유불리를 만들어낼 수 있는 요소"라며 "최대한 과목 간의 유불리를 최소화하자는 것이 이번 출제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했던 사항"이라고 강조했다.

이규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도 "난이도는 검사 문항의 쉽고 어려운 정도도 영향을 미치지만 시험에 응시하는 응시집단의 능력 수준도 영향을 미친다"며 "6월과 9월 시행했던 모의평가 결과를 파악해 평균 원점수와 표준점수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출제에 임했다"고 말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