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한국 집값 하락폭 확대 전망...2019년보다 10%p↓
IMF, 한국 집값 하락폭 확대 전망...2019년보다 10%p↓
  • 유영혁 기자
  • 승인 2022.12.16 08:33
  • 수정 2022-12-16 08: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시스·여성신문
ⓒ뉴시스·여성신문

코로나19 대응으로 풀렸던 유동성에 낮은 금리까지 더해 큰 폭으로 상승했던 한국의 부동산 가격이 수요 변화와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해 향후 더 큰 폭으로 하락할 수 있다고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망했다.

IMF는 15일(현지시간) 홈페이지 등에 발표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주택시장 안정성과 구매 능력’ 보고서에서 "전반적으로 대유행 시작 이후 주택 가격 하락 위험이 많은 선진국에서 중대하게 증가했다"고 경고했다.

IMF는 지난 2021년 연말을 기준으로  한국 집값이 코로나 시작 전인 지난 2019년 말과 비교해 올해 말까지 10% 포인트 정도 하락할 수 있다고 봤다. 또 기준금리 인상까지 더하면 하락 폭은 더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IMF는 이번 보고서에서 코로나 유행 기간 동안 재택근무 확대에 따른 주택 수요 확대, 낮은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 정부의 대규모 재정 지원 등의 이유로 아·태 지역에서 주택 가격이 상승했다고 분석했다. 

국가별로 2019년 4분기에서 2021년 4분기 간 실질 주택 가격 변화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주택 가격 상승은 약 18% 정도로, 뉴질랜드, 호주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IMF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주택 시장은 중요한 시점에 있다"라며 지난 10년, 그리고 대유행 기간 상승한 주택 가격이 많은 국가에서 이제는 하락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IMF는 금리 인상 역시 가격에 더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2022년 금리 대폭 인상과 향후 추가 인상 예측 속에서, 높은 금리는 주택 가격 하락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MF는 "이번 분석의 기반이 된 통계는 대부분의 아태 국가에서 금리가 여전히 낮았던 2021년 4분기 것"이라면서 "고금리는 주택가격 상승을 낮추기 때문에 향후 금리 인상은 주택 가격의 하방 위험을 가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지역 선진국의 경우 300bp(3.00%p) 금리 인상이 향후 2년 동안 5% 이상 주택 가격 성장 폭을 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