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경기 북부 등 중부권에 폭우가 내린 지난 8월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일대 도로가 침수돼 차량이 잠겨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서울과 경기 북부 등 중부권에 폭우가 내린 지난 8월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일대 도로가 침수돼 차량이 잠겨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날씨 걱정이 많았던 한 해였다. 겨울 이상고온 현상에 한반도 곳곳에서 때아닌 봄꽃이 피었다. 지난 9월 태풍 힌남노가 남부 지방을 덮쳐 11명이 사망했다. 8월엔 중부권 폭우 사태로 사망자만 14명에 이르는 등 피해가 컸다. 그러나 한국의 기후위기 대응은 후퇴하고만 있다. 지난 11월 공개된 ‘기후변화대응지수’에서 한국은 63개국 중 60위였다. 온실가스 배출, 재생에너지, 에너지 소비는 ‘매우 저조’, 기후 정책은 ‘저조’ 평가를 받았다.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즉 ‘손실과 피해’는 개도국일수록, 약자일수록 더 크다. 지난해 가뭄으로 동아프리카 지역에서만 5800만명이 영양 부족을 겪었고, 올해 파키스탄은 대홍수로 국토의 3분의1이 물에 잠기고 3300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하고 1700여명이 사망했다. 지난 6월 유엔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변화에 취약한 55개국이 지난 20년간 겪은 기후변화 피해는 5250억 달러(약 705조원) 규모로 추정된다.  

우리가 주춤대는 사이에 ‘기후 정의’가 시대의 화두로 떠올랐다.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7)에서 온실가스 배출 주범인 선진국들이 개발도상국이 겪는 기후위기에 대해 기금을 조성해 지원하기로 합의했다. 우리도 이러한 흐름에 적극 동참할 때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