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차례상, 홍동백서 근본 없다”… 성균관 간소화 권유
“설날 차례상, 홍동백서 근본 없다”… 성균관 간소화 권유
  • 이하나 기자
  • 승인 2023.01.17 10:53
  • 수정 2023-01-17 12: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균관의례정립위, 간소화 권고
떡국 올리고 전 안부쳐도 돼
성균관의례평립위원회가 제시한 설 차례상 예시. 사진=성균관
성균관의례평립위원회가 제시한 설 차례상 예시. 사진=성균관

설 명절을 앞두고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이하 성균관)가 차례상에 과일 종류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으며 기름에 지진 음식을 올리지 않아도 된다며 간소하게 지내라고 권고했다. 

성균관과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한국유교문화진흥원은 16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내용의 차례 방안을 제안했다.

성균관은 떡국을 비롯해 나물, 구이, 김치, 술(잔), 과일 등 9가지 음식을 올린 차례상을 보기로 제시했다. 차례상에 올리는 과일 종류는 정해진 것이 없으니 4가지 정도를 편하게 놓으면 된다. 송편이 떡국으로 바뀐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지난 추석 차례상 예시와 같다. 

또 특정 과일을 준비할 필요는 없으며 ‘홍동백서(紅東白西: 제사상에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일)’나 ‘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밤·배·감)’는 예법을 다룬 문헌에 없는 표현이라고 강조했다.

성균관은 또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며 “전을 부치느라 고생하는 일은 이제 그만두셔도 된다”고 했다. 

아울러 고인의 이름과 제사 지내는 사람의 관계 등을 종이에 적은 지방(紙榜) 대신 사진을 놓고 차례를 지내도 된다고 성균관은 덧붙였다.

차례와 성묘 중 어느 것을 먼저 할지는 가족이 의논해서 정하면 된다고도 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