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위 “트랜스젠더 환자의 입원실 이용 가이드라인 제정해야”
인권위 “트랜스젠더 환자의 입원실 이용 가이드라인 제정해야”
  • 김민주 기자
  • 승인 2023.01.26 12:36
  • 수정 2023-01-26 12: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입원실 등 성별 분리시설 이용에
트랜스젠더 환자 배제 등 차별 없어야
인권위는 4일 어린이날 100회를 맞아 인권위원장 이름으로 성명을 발표했다. ⓒ홍수형 기자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송두환, 이하 ‘인권위’)는 2023년 1월 4일 보건복지부장관에게 트랜스젠더의 입원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할 것을 권고했다. ⓒ홍수형 기자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송두환, 이하 ‘인권위’)는 2023년 1월 4일 보건복지부장관에게 트랜스젠더의 입원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을 제정할 것을 권고했다고 26일 밝혔다.

진정인 A씨는 남성에서 여성으로 전환한 트랜스젠더 여성으로, 외모는 여성이지만 성전환수술과 법적 성별 정정은 하지 않았다. A씨는 2021년 10월 B대학교 부속 병원에서 상담을 받고 입원하기로 하였으나, A씨가 주민등록상 남성이라 남성 병실에 입원해야 한다는 병원 측의 안내를 받고 실랑이를 벌이다 결국 입원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성별 정체성을 이유로 한 차별이라며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이에 대하여 B대학교 부속 병원 측은, 트랜스젠더 환자 입원과 관련하여 별도의 자체 기준은 없으나 「의료법」 규정상 입원실은 남녀를 구분하여 운영하는 것이 원칙이며, 남녀를 구분하는 기준은 법적 성별을 따르고 있다고 답변했다. 또한 2021년에 진정인 외에 두 명의 트랜스젠더 환자가 입원하였는데, 모두 본인 부담으로 1인실을 이용하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트랜스젠더의 병실 입원과 관련한 별도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은 없으며, 「의료법 시행규칙」 제35조의2(의료기관의 운영기준) 제2호에 “입원실은 남·여별로 구별하여 운영할 것”이라고만 규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권위 차별시정위원회는 “의료기관이 입원 환자를 특정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병실을 배정하는 것은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나, 이러한 기준으로만 구분하기 어렵거나 남/여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사람이 존재하는 것 또한 엄연한 현실”이라고 보았다.

인권위 차별시정위원회는 “트랜스젠더를 시스젠더(법적 성별과 본인이 인식하는 성별이 일치하는 사람)와 구분 없이 법적 성별만을 기준으로 남/여라는 이분법적인 범주에 포함시키려고 하는 것은 ‘다른 것은 다르게 처우해야 한다’는 평등 처우의 기본원칙에 반하는 조치라고 보고, 트랜스젠더의 의료기관 이용과 관련하여 별도 지침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다만, 인권위는 B대학교 부속 병원의 행위는 보건복지부 등 관계기관의 규정 미비나 공백에서 발생한 것으로 봤다. 대신 인권위는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트랜스젠더의 의료 접근권을 보장하고, 의료 처우 배제 등의 불이익을 예방하기 위하여 트랜스젠더 환자의 입원과 관련한 지침이나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것을 권고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