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든지 오래 울 수 있다』
허성우 지음, 도서출판 심지 펴냄

『얼마든지 오래 울 수 있다』/허성우 지음/도서출판 심지 펴냄 ⓒ도서출판 심지
『얼마든지 오래 울 수 있다』/허성우 지음/도서출판 심지 펴냄 ⓒ도서출판 심지

어느 날 갑자기 소중한 사람이 세상을 떠난다면 어떻게 삶을 이어가야 할까.

저자 허성우 시인은 이화여대와 영국 서섹스 대학에서 여성학을 공부하고 한국에 돌아와 성공회대 실천여성학 교수를 지냈다.

그의 인생은 2014년 아들을 떠나보내고 큰 변곡점을 맞았다. 이후 성공회대 교수직을 사임하고 대전으로 귀향해, 2021년 김성순, 이영아 부제와 함께 한국 최초의 여성 종신부제가 됐다. 이번 시집은 슬픔에 잠겨있던 그가 종교에 귀의해 다시 삶의 의미를 찾아나가는 여정을 보여준다.

너를 잃은 슬픔/ 극복하라 하네/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

너 없는 날들/ 명랑하게 살라 하네/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

아픔 밟고 일어나/ 장하게 걸으라 하네/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

(후략)

―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 일부

아들의 죽음을 마주한 그는 처음에는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고통스러워한다. 사람들은 쉽게도 ‘극복해라’ ‘명랑하게 살아라’ ‘아픔 밟고 일어나라’고 한다. 하지만 자녀를 잃은 사람을 어떤 말로 위로할 수 있을까. 시인은 진정한 위로가 무엇일지 독자에게 생각해보게 한다.

(전략)

외로움을 먼저 배운 너 / 나의 부재와 너의 상실/ 불안과 욕망으로

앓던 나 미쳐있던 나/ 나의 결핍, 결핍된 나/ 어딘가 묶여 아팠던 나

이번 일만 끝나면/ 이 공부만 마치면/ 이 논문만 끝나면/ 이 불안만 벗어나면

(후략)

― 「엄마 되기」 일부

그는 아들의 죽음을 통해 ‘엄마‘ 역할과 ‘나’로서의 삶 사이에서 갈등하는 뭇 여성들의 고뇌도 내비친다. 시인의 언어는 ‘살아있을 때 더 잘해주지 못했다’는 자책과 그에 대한 속죄로 가득 차 있다. 하지만 그것이 결코 어머니-여성 개인의 잘못만은 아닐 것이다. 

시인은 「질문2」에서 아들의 죽음이 사실 자기 삶에 대한 질문과 연결돼 있음을 인지한다. 그렇게 시인은 살아내야 하는 시간을 무엇으로 채워갈지 고민한다.

한편, 시인은 개인의 슬픔에 사변적으로 머무르지 않고, 사회 문제로까지 자신의 시적 세계를 확장한다. 「세월호」, 「1호선 지하철」, 「이 시대의 정의」에서는 사회 문제를 외면하지 않고 우리 사회의 모나고 아픈 부분을 두루 짚고 보듬는다. 자신의 상실과 고통이 그들이 겪은 고통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달은 사람의 모습이다.

시인은 끝으로 ‘새로운 삶’을 ‘축복해’달라고 말한다. 평등을 말하는 성공회 교리와 페미니즘이 다르지 않음을 깨달은 그는, 자신과 같은 아픔을 겪는 사람들과 사회의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봉사하는 삶을 통해 자신의 삶을 채워나갈 것이다.

허성우 시인. (제공=도서출판 심지)
허성우 시인. (제공=도서출판 심지)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