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분향소 5일 공동운영’ 제안…유가족들 “참사 책임 규명부터“
서울시 ‘분향소 5일 공동운영’ 제안…유가족들 “참사 책임 규명부터“
  • 이세아 기자
  • 승인 2023.03.07 21:59
  • 수정 2023-03-07 22: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이 2월15일 서울광장 분향소에서 영정사진을 보면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이태원 참사 유가족이 2월15일 서울광장 분향소에서 영정사진을 보면서 눈물을 흘리고 있다. ⓒ뉴시스·여성신문

서울시가 이태원 참사 희생자 유가족 측에 서울광장 분향소를 5일간 공동 운영한 뒤 정식 추모공간 논의를 이어가자고 제안했다. 

유가협은 유족들의 참사 대책 요구에 대한 정부의 응답이 먼저라고 답했다. 독립적 진상조사 기구 설치, 특별법 제정 등 요구에 정부가 답하지 않는 한 분향소를 지금처럼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서울시는 7일 긴급 브리핑을 열고 오는 4월1일~5일까지 서울시와 유가족이 현 분향소를 함께 운영한 뒤 시청 인근에 임시 추모·소통 공간을 마련하자고 제안했다. 이후 항구적인 추모공간 설치 논의도 시작할 예정이라고 했다.

10.29 이태원참사 유가족협의회와 시민대책회의는 이날 오후 입장을 내고 “참사에 대한 대통령의 사과, 행정안전부 장관 파면, 독립적 진상조사기구 설치, 특별법 제정 등 국가의 책임을 묻는 일과 희생자들의 명예회복을 위한 어떠한 조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통령은 유가족들의 공식 면담 요청에도 아무런 답을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또 ”어떤 것도 유의미한 진전이 없는 상황에서, 유가족들이 희생자들을 온전하게 추모할 수 있는 공간이자 시민들과 소통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인 서울광장 분향소를 한동안 더 유지해야 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유가족들과 시민대책회의는 “서울시 제안은 과거  ‘녹사평역 지하 4층’(을 추모공간으로 제시한 것)보다는 진전된 안이라고 할 수 있지만, 서울시가 일방적으로 분향소 종료시점을 정해 언론을 통해 제안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했다. 또“참사에 대한 온전한 추모보다 서울광장 분향소의 철거만이 서울시의 관심이 아닌지 의심스럽다”고 밝혔다.

이들은 “159번째 희생자와 생존 피해자에 대한 정부 무대책의 우려가 큰 상황에서 정부와 서울시가 진정성을 갖고 참사 해결책을 마련할지 지켜볼 것”이라며 “유족들이 충분히 납득할 수 있는 해결책이 만들어진다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임시추모공간 등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