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사용 쉬워지나… 고민정 의원, 부모 ‘육아휴직 사용권 보장법’ 발의
육아휴직 사용 쉬워지나… 고민정 의원, 부모 ‘육아휴직 사용권 보장법’ 발의
  • 김민주 기자
  • 승인 2023.03.22 14:28
  • 수정 2023-03-22 14: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권을 제대로 보장하기 위한 법 개정이 추진된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서울 광진을) 은 22일 노동자가 육아휴직 신청시 사업주가 21일 이내 서면 또는 전자적 방법으로 노동자에게 의사표시를 하도록 의무를 부여하고 이를 위반할 때 과태료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을 대표발의 했다고 밝혔다.

현행법상 육아휴직을 사용하고자 하는 노동자는 휴직개시 예정일의 30일 전까지 신청서를 사업주에게 제출해야 하고, 사업주는 이를 승인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노동자가 신청서를 제출하는 것과 달리 사업주에는 별도의 서면 통보 규정 등이 없어 육아휴직 사용권에 제약을 겪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사업주가 별도의 의사표시를 하지 않는 경우 고용노동부는 “묵시적으로 승인한 것이 타당하다”고 해석하고 있지만, 사업주가 묵묵부답으로 일관하면 노동자는 육아휴직 사용에 눈치를 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 ‘2021 년 일·가정 양립 실태조사’에 따르면 근로자의 34.2%가 “육아휴직 신청에 부담을 느끼거나 여건상 신청하기 어렵다”고 응답했고, 육아휴직 제도를 활용할 수 없는 이유로 “사용할 수 없는 직장 분위기나 문화 때문에” 라는 응답이 31.8%로 여전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고민정 의원은 육아휴직 신청에 대한 사업주의 의사표시 의무를 법령에 명확히 규정해, 노동자가 부담없이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정안을 마련했다. 해외에서도 육아휴직 자동개시 조항을 두거나, 사업주에게 서면 통보 의무를 부여하는 등의 방식으로 부모 육아휴직 사용권을 보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고민정 의원은 “육아휴직 제도가 있어도 회사 눈치를 보느라 제대로 쓰지 못하는 현실을 감안하면, 육아휴직 소득대체율 인상, 육아휴직 기간 확대 등의 제도 개선 못지 않게 육아휴직의 권리를 보장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 나가는 것도 중요하다” 고 지적했다. 이어 “법 개정을 통해 노동자가 육아휴직을 비롯한 돌봄제도 사용에 있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