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시스·여성신문
ⓒ뉴시스·여성신문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이 2년 전보다 11.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과 대구 전셋값은 각각 3년 전, 5년 전 수준으로 돌아가며 역전세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주)직방이 자사 직방RED를 통해 제공되는 머신러닝 모형 기반 아파트 전세가격지수의 최근 추이와 2년 전 대비 변동률을 분석한 결과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2년 전(2021년 4월)보다 11.8% 하락했다.

지역별로 세종이 28.5%, 대구가 26.5% 각각 내렸다. 이어 울산(-18.9%), 인천(-17.1%),부산(-16.9%), 대전(-15.1%) 순으로 하락세가 컸다.

수도권 3개 시도의 전세가격 흐름은 2020년 이전까지 비슷한 추이를 보였지만 2020년 이후 인천과 경기에서 서울에 비해 아파트 전세가격의 변동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은 2021년 10월에 고점을 기록한 이후 큰 폭으로 하락해 올해 초에는 3년 전인 2020년 초 수준까지 낮아졌다.

서울 자치구별로는 올해  4월 기준 강남구와 동작구의 아파트 전세가격이 2년 전보다 각각 13.2%, 12.9% 떨어졌다.  강남3구의 경우 2019년 이후 2022년 상반기까지 연평균 10% 안팎의 꾸준한 상승 추세를 보이다 2022년 중순 이후 하락 전환해 1년 동안 고점보다 15~17% 가까운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

북부권(노도강 지역)은 2020년에 급격한 전세가격 상승을 보인 이후 2년 간 보합세를 유지하다가, 2022년 하반기 들어 하락전환 되었으나 그 속도는 10~11% 내외로 동남권에 비하면 비교적 느린 하락세를 보였다. 강북구와 송파구 등 일부 자치구는 2023년 3-4월 들어 반등이 시작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수도권 전철의 주요 노선별로 살펴보면 2023년 4월 기준 3호선 역세권 아파트의 전세가격이 2년 전보다 12.9% 하락해 상대적으로 많이 내렸다.반면 6호선(-6.7%)과 신분당선(-8.1%), 2호선(-8.5%)은 비교적 하락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방 빅데이터랩 함영진 랩장은 "아파트 전세시장의 동향은 지역에 따라 엇갈렸는데 서울의 경우 자치구에 따른 차이가 있으나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동률이 낮고 하락전환의 시기도 2022년 하반기로 타 지역에 비해 이른 편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함 랩장은 "인천 및 대구, 세종 등 지방 대도시들은 하락전환이 시작된 시기도 2021년 중반 경으로 이르고 전세가격의 하락률도 가파르고, 특히 인천과 대구는 역전세난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되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직방 제공
ⓒ직방 제공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