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란이 만난 지구촌 여성들] (3) ‘나’를 찾아 나선 아프간 여성들

카불에서 가장 진보적인 여성들을 만나려면 어디로 가야할까?”

내 질문에 신문사에서 일하는 한 아프간 친구가 소개한 곳은 엉뚱하게도 미장원이었다. 결혼식 드레스와 미용도구가 널려 있는 30평 정도의 지하 공간에는 간단한 운동기구 몇 대가 놓여 있고 요란한 댄스 음악에 맞추어 10여 명의 여성이 몸을 흔들어 대고 있었다. 동네마다 하나씩은 있게 마련인 우리나라의 헬스클럽에 익숙해져 있는 내 눈엔 초라하기 그지없는 이 곳, 그러나 카불에서 단 하나뿐인 아프간 최초의 여성 전용 헬스클럽이다.

탈레반 붕괴 후 여성에 ‘스포츠’ 허용…배구 농구 태권도 등 보통 여성에겐 먼 얘기

탈레반 정권 붕괴 후 아프간 여성들도 운동을 할 수 있게 됐다. 2003년 이후 62개의 스포츠 클럽이 문을 열었고 배구, 농구, 탁구, 태권도 등 스포츠를 즐기는 여성들도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모두 전문 체육인을 위한 것이고 일반 여성에겐 먼 나라 이야기다. 운동할 공간도 없지만 사회 인식도 문제다. 세상이 변했다고 하니 전문 체육인은 접어둔다 치더라도 자기 아내나 딸이 운동한답시고 집을 나서는 것을 이해하는 남편이나 아버지는 많지 않다. 이 헬스클럽이 이름도 없이 미장원 간판을 방패삼은 것도 같은 이유다.

“사람들은 여자들이 모여 무슨 짓을 하나 의심스런 눈으로 쳐다봅니다. 한때는 이 곳을 폭파시키겠다고 위협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 곳의 주인이자 트레이너인 ‘니마’의 이야기다.

니마는 최초라는 이름을 달고 사는 여자다. 아프간 최초의 여성 운전면허 소지자이고 올림픽에 아프간의 국기를 들고 출전한 최초의 여성 체육인이다.

“뭐든 최초가 되고 싶습니다. 여성에 대한 잘못된 고정관념에 맞서 싸우는 일에도 최초가 되고 싶고요”

니마가 여성전용 헬스클럽을 연 이유다.

‘미장원’ 간판 뒤 여성 전용 헬스클럽에 의심의 눈초리, 폭파 위협도 잇달아

이 헬스클럽을 이용하는 사람은 대부분 직장 여성들이다. 이런 곳이 있다는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만큼 세상 돌아가는 일에 밝을 뿐 아니라 이 곳에 와 돈을 내고 운동을 할 정도로 삶의 여유도 있고 무엇보다 남들이 뭐라 하든 상관하지 않는 배짱도 있는 여성들이다.

‘파르마’는 전세계에 아프간 뉴스를 전하는 라디오 ‘리버티’의 프로듀서로 일한다. 운동을 시작한 이유는 단 하나, 살을 빼기 위해서다.

“너무 뚱뚱해 남들 앞에 서기가 싫었습니다. 자신감을 회복하기 위해 살을 빼야겠다고 결심했죠”

BBC 라디오 기자로 일하는 ‘마르살’도 비슷한 이유로 운동을 시작했다.

“남들은 보기 좋다고 하지만 내가 불편합니다. 뱃살이 너무 많아 옷맵시도 별로고요”

80㎏의 몸무게를 60㎏으로 줄이는 게 마르살의 목표다.

누군가를 위해서가 아니라 여성 자신의 만족을 위해 몸매에 신경 쓴다는 것은 아프간 사회에서 아직은 낯선 생각이다. 특히 살을 뺀다는 것은 아프간 문화에서는 이해하기 힘든 일이다. 아프간의 남자들은 살이 있는 ‘복스러운’ 여자들을 섹시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결혼 적령기에 있는 여성들은 일부러 살을 찌우기도 한다.

“남자들이 어떻게 생각하든 상관하지 않습니다. 내가 좋아야지, 남의 생각이 뭐 그리 중요합니까?”

아직 미혼인 ‘샤킬라’의 말이다.

헬스클럽에서 땀을 흘리던 ‘나지바’가 휴대전화로 걸려온 전화를 받고 달려간 곳은 ‘케르 카나’병원. 이 곳에서 산부인과 의사로 일하는 그녀는 응급환자가 기다리는 수술실로 직행했다. 10시간이나 진통을 했지만 아이는 나오지 않고 결국 30대 후반의 임신부는 제왕절개 수술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미 아이가 8명이나 있는 이 여인은 아홉 번째 아이를 출산하기 위해 생명의 위험을 감수하고 있었다.

“이러다 죽을 수도 있는데…여자가 아이 낳는 기계도 아니고…”

20년 넘게 산부인과 의사로 일해온 나지바는 자신이 돌봐야 하는 환자의 처지에 울분을 토했다.

유엔 통계에 따르면 출산으로 인한 여성 사망률이 세계 최고인 나라가 아프간이다. 아이를 낳거나 유산을 하는 문제로 30분마다 한 명의 여성이 죽어간다. 그럼에도 아프간의 여성들은 보통 10명 내외의 아이를 낳는다. 그 아이들을 먹이고 기르다 보면 여성 자신을 돌볼 여유 같은 건 아예 포기해야 한다. 여성은 아이를 갖고, 낳고, 기르는 일만 하는 일종의 기계 같은 존재가 되어 버린다.

이슬람 율법이 금하고 있어 피임이나 낙태도 할 수 없다. 산아제한 수술은 남편의 동의가 있어야 하는데 남편들은 동의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지난 한 해 아프간 전체를 통틀어 20명가량의 여성이 산아제한 수술을 받았다. 나는 ‘혁명적’이라는 단어는 이런 때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더 이상 당신의 아이를 갖고 싶지 않습니다” 이런 이야기를 남편에게 하는 것이 아프간에서 얼마나 힘든 일인지 이해한다면 20명 여성에게 표창이라도 해야 한다.

“뭐든 최초가 되고 싶고, 여성고정관념에 맞서는 데도 최초 되고 싶은” 여성들

5명 아이를 둔 ‘사이다’는 3일 전 산아제한 수술을 받았다.

“남편을 설득하는 데 1년이 걸렸습니다. 남편은 좋은 사람이지만 전형적인 아프간 남자거든요”

낳아만 놓고 책임지지 않는 그런 부모는 되지 말자, 최선을 다해 아이들을 키워보자, 5명도 많다. 다행히 남편은 아내의 이런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었고 어렵지만 수술에 동의했다. 하지만 그녀가 수술을 결심한 데는 다른 이유가 한 가지 더 있었다.

“남편에겐 이야기하지 않았지만 아이를 더 가지면 지금 하고 있는 일을 그만두어야 한다는 것도 큰 이유였습니다”

사이다는 문맹퇴치학교에서 가르친다. 가난 때문에, 탈레반의 정책 때문에, 여자는 교육받을 필요가 없다는 인식 때문에 배움의 기회를 놓쳐버린 여성들에게 글을 가르치는 것이 그녀의 일이다.

“가르칠 때 나도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될 수 있음을 느낍니다”

누구의 어머니, 아내로 살아온 삶을 접고 ‘나’의 존재를 확인하고 싶다는 것이 사이다가 산아제한 수술을 결심한 이유였다.

내가 헬스클럽에서 살을 빼는 아프간 여성들을, 산아제한 수술을 받은 사이다를 ‘노라’에 비유한다면 독자들은 이해할 수 있을까? 우리에겐 너무나 당연한 것들이 그들에겐 혁명적 사고의 전환을 요구하는 힘든 일임을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을까?

알립니다

‘강경란이 만난 지구촌 여성들’의 이제까지의 자료 사진들은 모두 ‘코리아포커스’ 조성수 기자에 의해 제공됐음을 밝힙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