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협력·평화 공존’ 주창…2015년까지 아시아 공동체 구축을

 

 

“스위스 다보스에서 세계를 뒤흔든 ‘경제포럼’이 생겨났듯이 오늘을 기점으로 이 제주에서 ‘아시아판 다보스포럼’이 탄생할 수 있음을 확신한다.”

올해부터 정기적으로 연례화되는 제6회 제주포럼의 조직위원장 우근민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의 ‘선언’이다. 지난 5월 27~29일 서귀포시 해비치호텔&리조트에서 사흘간의 여정을 마친 제주포럼에선 ‘새로운 아시아, 평화와 번영을 위하여’를 주제로 23개국 1700여 명이 6개 전체회의와 52개 동시회의 등 총 64개 세션에 참여해 활발한 논의의 장을 펼쳤다. 참가 인원이나 세션의 규모 면에 있어 종전 포럼과는 2~3배 차이가 나는 양적 성장을 거두었고, 특히 ‘여성’에 집중한 세션이 처음으로 개설돼 여성 참가자 비율이 전체 참가자 중 20%를 육박할 정도로 급증했다.

23개국 1700명 참가 ‘성황’

 

이번 제주포럼이 거둔 질적 성과는 아시아가 세계의 중심으로 부상함에 따라 기존 글로벌 스탠더드를 벗어나 아시아의, 아시아에 의한, 아시아를 위한 ‘뉴 아시아 스탠더드’가 마련돼야 하고, 이는 상생과 협력, 평화와 공존을 토대로 돼야 한다는 점에서 강한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것이다. 여기서 가장 강조된 것은 ‘아세안+3’(ASEAN+3)에서의 한·중·일의 역할. 아시아 지역 국내총생산(GDP)이 전 세계 27%를 차지하는 가운데 한·중·일 삼국의 GDP는 이 중 20%에 달하고 있다.

28일 개회식에서 김황식 국무총리는 특히 동아시아 지역 내 소득 양극화 현상을 해결 당면과제로 제시했다. GDP가 3만 달러 이상인 국가가 있는 반면 하루 평균 1달러 미만으로 살아가야 하는 최빈국도 공존하기 때문. 이를 개발 격차 해소를 위한 공동 노력과 함께 “경제성장과 환경보호, 고용창출 등을 통한 ‘포용적’ 성장”을 강조했다. 상하이 푸둥의 개발을 주도한 자오지청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외사위원회 주임(장관급)은 아시아 각국의 상호관계에 따라 2050년까지 아시아 지역 GDP가 전 세계 GDP의 50%까지 치솟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는 특히 ‘중국다운 사회주의 노선’을 유지할 것도 분명히 했다. 북한과의 관계에 있어 지금처럼 “미국과는 다른 방식”을 계속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철저히 고립되면 중국도 (북한에) 발휘할 수 있는 역량을 발휘하지 못하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반면 북한이 핵무기를 보유할 경우 중국의 주변국 중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최대 6개국이 핵무기 보유국이 되고 이에 따라 중국이 심각한 위협에 처하게 되므로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대해선 중국이 단호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열린 세계 지도자 세션에서 글로리아 아로요 전 필리핀 대통령은 아시아 지역만 대륙 간 공동체가 없다며 “2015년까지는 강한 결속력을 지닌 아세안 공동체를 꼭 형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이런 맥락에서 중국의 급부상을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입장을 표했다.

“아시아 발전, 한·중·일이 열쇠를 쥐고 있다”

 

한승수 전 국무총리(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GGGI) 이사회 의장)는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기조로 한 저탄소 녹색성장이 아시아의 우선 과제가 돼야 한다”고 역설하며 특히 기후변화 문제 해결을 위해 화석연료 사용을 자제하며 한·중·일 3국이 긴밀히 ‘녹색 협력’을 할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원전이 거의 유일한 대안이지만 이번 일본 쓰나미 참사가 시사하듯 ‘안전한 원전’이 필수적이기에 시간과 노력, 돈을 아낌없이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으론 한반도 비핵화가 아시아 성장에 필수적이란 전제 아래 “북한 경제가 세계 경제 안에 포함되는 것이 북한의 거의 유일한 희망”이라며 “북한은 이제까지 중국만 바라보고 정책을 펼쳐왔기에 당장 핵 개발을 중지하고 중국이 지금 하고 있는 개방정책을 따라가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뉴 아시아 스탠더드’가 한층 구체적으로 모색된 27일 세션에선 리웨이안 동북재경대 총장의 네트워크형 기반의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발전 모델, 려본푸 중국과학원 상임 부원장의 중국 농촌의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성공이 시사하는 발전 모델 등이 제시됐다. 특히 후자의 경우, 생산구조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산업화를 뛰어넘었다는 면에서 고무적이다. 경영학 박사 출신으로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총장을 역임한 윤은기 중앙공무원교육원 원장은 경제발전과 민주화 두 마리 토끼를 잡은 한국의 성공 요인으로 ‘교육 투자’와 ‘스피드 경영’을 꼽으며 IT 기술의 보편화로 세계 최고의 ‘빠른 국가’로 변신한 것이 최대의 시너지 효과를 냈다고 분석했다.

연례 정기화 위해 상설기구 설치하고 국제고문단 위촉

 

 

그는 아시아 발전 모델이 된 한국이 해야 할 일은 “후발국들에 우리의 경험을 전수하는 것”이고, 이것이 바로 한국은 물론 상대 국가 그리고 인류의 발전에도 기여하는 3 win(win-win-win) 전략이라고 역설했다. 장이청 세계화상협회 총회장도 “아시아 경제의 지속 발전을 위해 녹색·성장·민생이 상호 결합돼야 한다”며 아시아 지역 간 협력을 재차 강조했다.

한편, 이번 포럼의 가시적인 성과에 힘입어 제주도와 포럼 조직위는 상설기구 설치와 중앙정부의 지원 강화를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 또 미국 최고의 아시아 전문가로 꼽히는 버지니아 캄스키 캄스키컨설팅 대표, 윌리엄 오버홀트 하버드 케네디스쿨 교수, 유종하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 국내외 인사 11인으로 꾸려진 ‘국제고문단’도 위촉했다.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gabapentin generic for what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