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연구원(원장 김준한)이 그동안 운영해오던 6개 연구실을 대구연구본부와 경북연구본부, 상생협력연구실 등 2개의 연구본부와 1개 연구실로 개편했다.

연구원은 연구본부 산하에 분야별로 3개 실을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원은 100여 명의 인력 중 행정을 제외한 연구인력을 대구본부와 경북본부에 40%씩, 상생협력실에 20%씩 각각 배치해 대구와 경북 지역의 다양한 정책 수요에 대응하겠다고 설명했다.

대구경북연구원 김준한 원장은 “경북도청 이전 등 시·도의 환경 변화에 따라 연구원에도 변화가 필요하므로 기능별로 편제된 조직을 분야별로 재정비했다. 대구·경북의 미래를 창조하는 정책 연구의 거점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직 개편은 경북도청 이전에 따른 대구경북연구원의 발전 전략으로 해석된다. 지난해 경북도의회는 경북도 관련 연구 실적의 부재를 이유로 33억원의 지원금 전액을 삭감했다. 경북도 의회의 이러한 행보는 돈줄을 쥔 갑의 행태로 비치며 여론이 집중되기도 했다. 이는 연구원의 2014년 정책연구 106개(대구 49, 경북 46, 대구·경북 공통 11)를 보면 삭감 이유가 이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동안 대구경북연구원은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2015년 세계물포럼, 남부권 신공항 유치,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등 시·도의 핵심 전략 사업에 대한 싱크탱크 역할을 해왔다. 또 대구국가산업단지, 대구공연문화도시, GUD국제과학 비즈니스 벨트,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트 조성, 2015 문경군인 체육대회 등 대구와 경북의 발전 방안을 모색해왔다.

대구경북연구원은 1991년 지방자치단체 출연 연구기관으로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설립해 각각 33억원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연구원의 역할이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이다. 연구원은 삭감된 예산은 그동안 적립한 기금을 경상예산에 편입해 사용하고 추경예산에 기대를 가지며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전담연구 지원 체제를 구축했다.

지역 특성을 감안한 연구 특화와 전문성 강화, 대구·경북의 상생 발전을 촉진할 협력연구 창구 마련 등으로 시·도 밀착형 정책을 지원하는 연구원으로 정체성을 더욱 확립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대구연구본부 산하에는 창조경제실·도시환경실·사회문화실을, 경북연구본부 산하에 창조산업실·지역발전실·농림수산실을, 상생협력연구실 산하에는 대구경북학센터·대경SOC센터를 설치했다. 2015년 중점 연구과제는 △젊은 대구 재창조, 대구 신르네상스 그랜드 플랜 △지방자치 20년 성과와 핵심 어젠다 △수도권 규제 완화 대응전략 △통일시대, 경북의 대응전략 구상 등이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