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글로리’·‘나는 신이다’ 등 OTT ‘청불’…넷플릭스에 가장 많아
‘더 글로리’·‘나는 신이다’ 등 OTT ‘청불’…넷플릭스에 가장 많아
  • 진혜민 기자
  • 승인 2023.03.26 13:40
  • 수정 2023-03-26 13: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 1부의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 1부의 한 장면. ⓒ넷플릭스 제공

최근 3년간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에서 제공된 ‘청소년 관람 불가 등급 콘텐츠’ 중 3건 중 2건이 넷플릭스의 콘텐츠인 것으로 확인됐다.

2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이 영상물등급위원회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국내외 OTT 등급분류 심의를 진행한 콘텐츠 8365편 가운데 21%인 1763편이 청소년 관람불가 등급을 받았다.

청소년 관람 불가 영상물을 플랫폼별로 보면 1145편(64.9%)이 국내 최대 플랫폼인 넷플릭스 콘텐츠였다. 3건 중 2건이 넷플릭스의 콘텐츠인 셈이다.

이어 디즈니플러스 195편, 티빙 147편, 웨이브 126편, 쿠팡플레이 57편, 왓챠 50편, 애플TV플러스 43편 등이었다.

성범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기독교복음선교회(JMS) 총재 정명석씨. 최근 MBC가 만든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 신이 배신한 사람들’ 공개 이후 다시 주목받고 있다.  ⓒ넷플릭스 이미지 캡처.
성범죄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기독교복음선교회(JMS) 총재 정명석씨. 최근 MBC가 만든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 신이 배신한 사람들’ 공개 이후 다시 주목받고 있다.  ⓒ넷플릭스 이미지 캡처.

최근 넷플릭스에서 화제를 모은 ‘나는 신이다’, ‘더 글로리’ 등의 콘텐츠가 선정성과 노출 장면 등으로 논란을 빚는 가운데, 오는 28일 OTT 자체 등급 분류제도 시행을 앞두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방안을 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의원은 “국내외 OTT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마약, 폭력, 음주 등 청소년에게 유해한 영상물이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다”며 “OTT 자체 등급 분류제가 업계 시청률 경쟁으로 이어져서 영상물 연령 등급을 낮출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콘텐츠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자체 등급 분류제 필요성은 인정되지만, 청소년에 대한 유해 콘텐츠 노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과 엄격한 영상물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여성신문은 1988년 창간 이후 여성 인권 신장과 성평등 실현을 위해 노력해 온 국내 최초, 세계 유일의 여성 이슈 주간 정론지 입니다.
여성신문은 여성들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여성의 '안전, 사회적 지위, 현명한 소비, 건강한 가족'의 영역에서 희망 콘텐츠를 발굴, 전파하고 있습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를 해주세요.
여러분의 후원은 여성신문이 앞으로도 이 땅의 여성을 위해 활동 할 수 있도록 합니다.

여성신문 좋은 기사 후원하기


※ 소중한 후원금은 더 좋은 기사를 만드는데 쓰겠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