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참사 희생자 형제자매·생존자 구술기록집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 출간 기자간담회

10·29 이태원참사 작가기록단과 시민대책회의는 25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출간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창비 제공
10·29 이태원참사 작가기록단과 시민대책회의는 25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출간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창비 제공

“기억되지 않은 참사는 다시 반복될 수 있다. 기억하려면 글로 남기는 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다.”

10·29 이태원참사 희생자 고(故) 김의현씨 누나인 김혜인씨는 그래서 입을 열었다. 동생의 이야기, 참사가 일어난 이후의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기는 일에 참여했다. 그는 “왜 갔느냐가 아니라 왜 못 돌아왔는지를 기억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태원참사 1주기를 앞두고 생존자와 유가족의 목소리를 담은 첫 인터뷰집이 나왔다. 10·29 이태원참사 작가기록단과 시민대책회의는 25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출간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창비). ⓒ창비 제공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창비). ⓒ창비 제공
10·29 이태원참사 작가기록단과 시민대책회의는 25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출간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창비 제공
10·29 이태원참사 작가기록단과 시민대책회의는 25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출간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창비 제공

변호사, 활동가, 미술가 등 전국 각지에서 모인 시민들이 펴낸 책이다. 다양한 재난참사를 기록해 온 인권기록센터 ‘사이’가 앞서 지난 2월 ‘재난참사 인권 기록학교’를 열고 참사를 함께 기록할 시민들을 모아 작가기록단을 꾸렸다. 이들은 약 9개월간 인터뷰를 통해 참사 생존자와 유가족부터 지역 노동자·주민까지 그날의 재난을 둘러싼 이들의 이야기를 기록했다.

기획과 집필을 맡은 유해정 인권활동기록가(성공회대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위원)는 “일반 시민들뿐 아니라 다른 유족들, 피해자들이 읽어주면 좋겠다”며 “슬픔의 연대를 통해 위로를 확장하는 과정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정민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희생자의 형제자매들의 구술 중심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책을 읽고 우리 아이들이 부모들의 슬픔을 보태기 싫어서 참고 감내했다는 것, 아이들의 고통이 크다는 걸 알게 됐다. 마음을 글로 나타낼 수 있다는 자체가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10·29 이태원참사 작가기록단과 시민대책회의는 25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출간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창비 제공
10·29 이태원참사 작가기록단과 시민대책회의는 25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회관에서 『우리 지금 이태원이야』출간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창비 제공

참사 1주년이 가까워져 오지만 유가족들과 생존자들은 지금도 ‘그러게 왜 놀러 갔냐’, ‘외국 귀신 축제’ 등 2차 가해 공격에 괴로워하고 있다.

이 대표는 “희생자를 탓하는 잘못된 프레임”이라며 “여전히 이태원은 많은 젊은이가 즐겨야 하는 곳이다. 젊은이들이 마음껏 활개 치고 자신의 꿈을 상상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 주는 게 기성세대와 어른들 역할이다. 그런데 (정부가) 오히려 그런 공간을 축소하고 없애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유 활동가도 “재난으로 얻을 수 있는 유일한 성취는 그들의 희생이 우리 사회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 난무하는 수많은 혐오, 비난이 수많은 참사 희생자들의 성취를 뒤로 밀어내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김씨는 국가의 부실 대응과 2차 가해로 인한 고통을 호소했다. “왜 매년 하던 핼러윈 축제 인파 관리를 하지 않았고, 왜 초기 신고 전화를 무시했고, 왜 사후 처리 과정이 불투명한지, 왜 책임자들은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는지를 기억해야 합니다. (...) 사고가 났으면 원인을 찾아야지, 애꿎은 핼러윈을 없애고 축제를 하지 말라니까 이해가 안 가요. (박희영 용산구청장의) ‘신이 아니니 예측할 수 없다’는 말도 이상해요.”

이 대표는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아직 밝혀진 것도 없고 정부는 밝히려는 의지도 없다. 국민들이 관심을 갖고 진실을 밝히는 데 동참해 주시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여성신문>은 2차 가해 우려로 이 기사의 댓글창을 닫습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