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1인가구 수 총 750만2000가구
연령 높아질수록 여성 비중 늘어
여성 70세 이상이 27.9%로 최대

 지난해 3가구 중 1가구는 ‘나 홀로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한 대학 인근의 원룸 밀집지역. ⓒ뉴시스·여성신문
 지난해 3가구 중 1가구는 ‘나 홀로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한 대학 인근의 원룸 밀집지역. ⓒ뉴시스·여성신문

지난해 세 집 건너 한 집은 ‘나 홀로 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1인 가구 40% 이상이 60세 이상 고령층이었다. 또 1인 가구 10곳 중 6곳은 1년간 벌어 들이는 소득이 3000만원에도 미치지 못했다. 

통계청이 12일 발표한 ‘2023 통계로 보는 1인 가구’를 보면, 지난해 1인 가구는 전체 가구의 34.5%인 750만2000가구로 집계됐다. 1인 가구의 비중은 1년 전보다 1.0%포인트(p) 늘었다. 세 집 중 한 집꼴로 1인 가구인 셈이다.  

1인 가구 비중은 증가세를 이어가며 매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지난해 1인 가구 비중은 2인 가구(28.8%)와 3인 가구(19.2%), 4인 이상 가구(17.6%)를 넘어선다.  4인 이상 가구는 이제 1인가구의 절반이다. 

1인 가구는 주로 청년 세대와 고령층으로 이뤄졌다. 연령별로 39세 이하와 60세 이상이 각각 전체 1인 가구의 36.5%, 35.3%를 차지했다. 1인 가구 71.8%가 청년·노인이라는 뜻이다. 

성별로 보면, 여성은 60세 이상 고령층(46.2%)의 비중이 높고, 남성은 39세 이하(41.5%)의 비중이 높았다. 

여성은 70세 이상이 27.9%로 최대였고, 이어 29세 이하(18.9%), 60대(18.3%), 50대(13.0%), 30대(12.4%), 40대(9.6%) 순이었다.  

남성 1인 가구 중 30대가 22.0%로 가장 많았고, 29세 이하(19.5%), 50대(17.8%), 40대(16.8%), 60대(14.5%), 70세 이상(8.8%)이 뒤를 이었다.  

통계청 사회통계국은 “미혼 또는 만혼인 30대 남성이 늘고, 고령화의 영향으로 남성보다 수명이 긴 여성 1인 가구의 비중이 높아지는 추세”라고 분석했다.  

61%는 연 3000만원 못 벌어

전체 1인 가구 연 소득은 3010만원으로 1년 전보다 11.1% 증가했다. 전체 가구 평균 소득 6762만원의 44.5% 수준에 머물렀다.

연 소득이 3000만원을 밑도는 비중도 61.3%로 나타났다. 연 소득이 1000만 원을 밑도는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5%로 집계됐다. 1000만원 미만은 전체 가구보다 11.5%포인트 높았다. 1000만 원 이상 3000만 원 미만의 경우 47%로 조사됐다. 

전체 가구 중 연소득 1억 원 이상이 20%에 이르렀으나 1인 가구는 2.0%에 불과했다.

지난해 취업자 1인 가구는 455만5000가구로 전년보다 20만4000가구 증가했다. 연령별 비중은 50~64세가 26.2%로 가장 높았으며, 30대(23.5%), 15~29세(20.5%) 순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산업별 비중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1.0%), 도소매·숙박음식점업(18.6%) 등에서 높은 비중을 보였다. 직업별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3.9%), 사무종사자(16.5%), 단순노무종사자(15.4%) 순으로 비중이 컸다.

1인 가구 10가구 중 4가구(42.6%)가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가구 대비 1인 가구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대전(38.5%), 서울(38.2%), 강원(37.2%) 순이었다.

1년 전 거주지 기준으로 시도를 옮겨간 1인 가구 중 유입이 유출보다 많은 지역은 서울이 4만5098가구로 가장 많았다. 그다음 순위인 충남(3888가구)과도 차이가 컸다. 많은 청년들이 직장을 찾아 서울로 이동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2023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통계청
2023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통계청

기초수급 72.6%가 1인 가구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는 1인 가구도 꾸준히 늘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1인가구 중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 대상자는 123만 5000가구로, 전체 대상자의 72.6%를 차지했다. 지난 2015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1인 가구의 자산은 전년보다 0.8% 줄어든 2억949억 원, 부채는 1.9% 늘어난 3651만원으로 추산됐다.

월 평균 소비지출은 155만1000원으로 전체 가구(264만원)의 58.8% 수준이었다.

1인 가구는 주로 단독주택(41%)에 살았다. 파트(34.0%), 연립·다세대(11.7%)가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대는 아파트 비중이 높았고, 그외 연령대는 단독주택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1인 가구 중에서도 주택을 소유한 비율은 30.9%로, 70세 이상이 48.8%로 가장 높았다. 1인 가구의 주택소유율은 전체 가구 56.2%보다 25.3%포인트 낮은 수준이다.

2021년 기준 1인 가구 중 절반 이상(54.6%)은 12.1평(40㎡) 이하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의 평균 주거면적은 13.4평(44.4㎡)으로 전체 가구의 평균 주거면적(68.3㎡)의 65% 수준이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