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 ‘시민과 세계’, 연구결과 게재
5년간 성별임금 격차 45.4%→34.3%
“소득 높아질 30대 여성들, 결혼과 출산 미뤄”

ⓒPixabay
ⓒPixabay

성별 임금 격차가 전보다 줄어든 배경에 경력단절을 우려한 30대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을 미루고 노동시장에 남았기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학계에 따르면 문지선 한국고용노동교육원 교수와 김난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가 펴낸 ‘시민과 세계’ 최신호에서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이 2017∼2022년 통계청의 ‘지역별 고용 조사’를 분석한 결과, 2017년 남녀의 실질 임금 격차는 45.4%였다. 이는 남성이 100만원을 받을 때 여성은 45만4000원 적은 54만6000원을 받는다는 의미다.

이후 여성과 남성의 실질 임금 격차는 2018년 38.0%, 2019년 36.3%, 2020년 31.4%로 좁혀졌지만 2021년 35.0%로 벌어졌고, 2022년에는 34.3%로 다시 떨어졌다. 5년간 임금 격차가 11%가량 줄어든 셈이다.

한편, 30대 여성 임금노동자 수는 2018년 1.0%, 2019년 1.7% 늘어났다 코로나19로 임금노동자가 전반적으로 줄어든 2020년 7.2% 감소했다. 이후 2021년과 2022년 다시 각각 2.2%, 1.4% 증가했다.

연구팀은 전보다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30대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을 미뤄 경력 단절을 피하면서 여성의 평균 임금이 높아졌고, 그에 따라 성별 임금 격차도 억제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2020년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을 받는 15∼29세(-10.2%)와 60대 이상(-13.8%) 여성 노동자가 줄어든 것도 성별 임금 격차 완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임금 시장에서 구조적 성차별을 겪으면서도 젠더 불평등이 심화되지 않도록 가까스로 방어하고 있는 30대 기혼 여성의 경력 단절 해소를 위한 정책적 개입이 시급하다”며 “노동시장의 끈질긴 성차별적 임금 보상과 관행, 평가 등을 걷어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