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와 온라인 아동 성착취 위기’ 주제로
미국 연방 상원 법사위원회 청문회 열어
페북·X 등 SNS 타고 아동 성착취물 유통
집중 타깃 된 저커버그 "모든 일에 사과"

(UPI 워싱턴DC=연합뉴스) 31일(현지시간) 미국 연방 상원 사법위원회가 개최한 온라인상 어린이 안전에 관한 청문회에 앞서 소셜미디어로 피해를 본 자녀를 둔 부모들이 피해자들의 사진을 들어보이고 있다.
(UPI 워싱턴DC=연합뉴스) 31일(현지시간) 미국 연방 상원 사법위원회가 개최한 온라인상 어린이 안전에 관한 청문회에 앞서 소셜미디어로 피해를 본 자녀를 둔 부모들이 피해자들의 사진을 들어보이고 있다.

아동 성착취물을 만들고 있다는 메타와 엑스 등 대행기술기업(빅테크)의 최고경영자(CEO) 청문회가 미국 상원에서 열렸다. 저커버그를 비롯한 CEO들은  “비극을 막지 못해 죄송하다”며 고개를 숙였지만, 법적 책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CNN에 따르면 미국 연방 상원은 31일(현지시간) 개최한 ‘빅테크와 온라인 아동 성착취 위기’ 청문회를 열었다. 

청문회에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스냅챗 에번 스피겔, 틱톡 추쇼우즈, 엑스(X·옛 트위터) 린다 야카리노, 디스코드 제이슨 시트론 CEO가 증인으로 출석했다.

방청석에는 소셜미디어에 의해 피해를 본 피해자 가족들이 자녀의 사진을 들어보이며 자리를 채웠다. 이들은 CEO들을 비난하고 의원들의 질타에 박수를 보내는가 하면, 가족을 잃은 슬픔에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학부모연합'의 셀비 녹스 이사는 "거의 모든 부모들이 알고 있는 것은 소셜 미디어가 우리의 아이들을 병들게 하고 있고 가장 비극적인 경우 우리의 아이들을 죽이고 있다" 고 말했다.

청문회는 SNS에서 어린이들이 괴롭힘을 당하는 장면과 성폭행범에게 돈을 뜯기고 목숨을 끊은 피해자의 이야기가 담긴 동영상으로 시작됐다.

위원장을 맡은 딕 더빈 민주당 의원은 빅테크 CEO들에게 “당신들이 안전보다 이익을 더 추구한 결과 아이들이 위험에 처했다”고 말했다. 

공화당 린지 그레이엄(사우스캐롤라이나) 의원은 이들 CEO를 향해 "여러분은 손에 피를 묻히고 있다. 사람을 죽이는 제품을 만들고 있다"고 포문을 열었다.

그는 "소셜미디어 기업은 긍정적인 면이 있는 제품을 만들었지만, 그것은 또한 함께하기에는 너무나 어두운 면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은(약 30억명)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운영하는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에 대한 비난이 집중됐다. 페이스북에서 신고된 아동 성학대물만 2000만건이 넘는다.

공화당 소속 마샤 블랙번 의원은 10대 이용자의 평생 가치를 270달러로 추정한다는 메타 내부 문서를 거론하며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을까. 정말 놀랍다”고 말했다.

저커버그는 “여러분이 겪은 모든 일들에 대해 죄송하다”며 피해 가족들을 향해 고개를 숙였다. 저커버그는 “누구도 여러분 가족이 겪었던 일들을 겪어서는 안 되며, 그것이 우리가 많은 투자를 하는 이유”라면서 “우리는 안전 및 보안을 위해 2016년부터 200억달러(26조원) 이상을 투자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피해 보상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저커버그는 회사가 초래한 피해에 대해 책임지겠냐는 물음에 “메타의 임무는 업계를 선도하는 도구를 만들고, 부모에게 힘을 실어주는 것”이라는 대답만 반복했다.

(워싱턴DC AP=연합뉴스) 31일(현지시간)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연방 상원 사법위원회가 개최한 청문회장을 떠나고 있다.
(워싱턴DC AP=연합뉴스) 31일(현지시간)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가 연방 상원 사법위원회가 개최한 청문회장을 떠나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민간 비영리기관인 NCMEC가 집계한 온라인 아동 성착취물 신고 건수가 2022년 3200만 건에서 지난해 3600만 건으로 크게 늘어났다”고 보도했다.  페이스북에서만 2천만건이 넘는 학대물이 신고됐다.

최근에는 소셜미디어나 메시지 앱으로 친구나 지인을 가장해 접근한 뒤 돈으로 꾀어 노골적인 사진과 영상을 요구하는 ‘온라인 성적 유인(Online Enticement)’이 지난해 18만6000건으로나타났다. 2022년 8만여 건에서 1년 만에 두 배 넘게 늘었다.

NCMEC에 따르면 성착취물이 평범한 일상에서도 제작·유포되며 지난해 최소 열두 명의 피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기도 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