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연합뉴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와 기업부채 수준이 14분기째 위험 수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72년 관련 통계 작성 후 최장기간이다.

6일 국제결제은행(BIS) 자료에 따르면 신용 갭은 지난해 3분기 말 10.5%포인트(p)로, 지난 2020년 2분기 말부터 10%p를 웃돌았다.

신용 갭은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신용(가계·기업부채) 비율이 장기 추세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 보여주는 부채 위험 평가 지표다.

민간신용 비율의 상승 속도가 과거 추세보다 빠를수록 갭이 벌어진다.  BIS는 잠재적인 국가별 신용위기를 가늠하는 데 이 지표를 사용한다.

BIS는 신용 갭이 10%p를 초과하면 '경보' 단계, 2~10%p면 '주의' 단계, 2%p 미만이면 '보통' 단계로 각각 분류한다.

우리나라 신용 갭은 지난 2017년 4분기 말(-2.9%p)에 상승하기 시작해 2019년 2분기 말(3.0%p) 주의 단계로 진입했다.

이후 2020년 2분기 말 12.9%p로 위험 수위인 경보 단계에 다다랐으며, 2021년 3분기 말(17.4%p)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1년 뒤인 2022년 3분기 말 16.8%p를 단기 고점으로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여전히 10%p를 웃도는 상황이다.

이는 GDP 대비 민간신용 비율이 지난해 3분기 말 225.5%로 2020년 1분기 말(200.0%) 이후 15분기째 200%를 웃도는 상황이 반영된 결과다.

지난해 3분기 말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01.5%,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은 124.0%로 각각 집계됐다.

과거 신용 갭이 10%p를 넘나든 기간은 매우 드물었다.

외환위기 때인 1997년 4분기 말(13.2%p)부터 1998년 3분기 말(10.5%p)까지, 금융위기 때인 2008년 4분기 말(10.7%p)부터 2009년 4분기 말(11.2%p)까지 등이었다.

1980년대 초반에도 두 차례 10%p를 넘은 적이 있지만 1년 넘는 기간 연속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가계·기업부채에 정부부채까지 더한 우리나라의 총부채 규모는 지난해 3분기 말 5988조191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29조8천614억원 더 늘었다.

총부채 규모는 지난해 4분기 말 기준으로 사상 첫 6천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