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문제 왜곡 비판 성명 이끌어
더 많이 말하고 연대해야

일본 정부의 역사 왜곡에 반발하는 목소리가 일본 안팎에서 높아지고 있다. 지난달 25일 일본 내 16개 역사·교육 단체가 일본군 ‘위안부’ 문제 왜곡을 우려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앞서 5월 초 세계 역사학자 187명이 공개서한과 집단 성명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반성과 행동을 촉구한 일이 기폭제가 됐다. 해당 성명에 동참한 학자의 수는 계속 늘어 현재 5백 명을 넘어섰다. 세계 학자들의 성명을 주도한 알렉시스 더든(Alexis Dudden·46) 미국 코네티컷대 역사학과 교수가 외교부 초청으로 지난달 28일 한국을 찾았다.  

더든 교수는 “일본인 대다수와 국제 사회는 일본정부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이기를 바란다. 일본은 더 늦기 전에 ‘위안부’ 문제를 인정하고 반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위안부’의 고통은 현재진행형”이라며 이 문제를 “젠더 억압과 폭력이라는 더 보편적인 차원에서 고민하고, 아직 드러나지 못한 ‘위안부’들의 고통에 대해 더 많이 말하고 연대해야 한다”고 했다. 현실의 변화는 더뎌도 성평등하고 평화로운 미래에 대한 희망을 놓지 말아야 한다고 그는 힘주어 말했다.

 

여성신문과 인터뷰 중인 알렉시스 더든 미국 코네티컷대 역사학과 교수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여성신문과 인터뷰 중인 알렉시스 더든 미국 코네티컷대 역사학과 교수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다음은 더든 교수와의 일문일답

여성 역사학자로서 당신의 정의로운 행동이 한국 여성들과 정의가 승리한다고 믿는 세계 시민들에게 큰 힘이 됐다.

- 일본에 대해 연구하는 동료 학자들이 없었다면 못 했다. 이 성명의 한사람이 될 수 있어 자랑스럽다. 이러한 움직임이 폭이 넓어지고, 강해지고 있어서 무척 기쁘다. 25일 일본 역사학계가 낸 집단 성명에도 박수를 보낸다. 특히 성명에서 ‘성노예(sexual slave)' 라는 단어를 사용한 점을 높이 평가한다. 이번 성명으로 일본 내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고 토론을 벌이는 학자들이 있음을 보여줬다. 

잇따른 역사학자들의 집단 성명 발표가 종전 70주년 기념 아베 총리의 8월 담화에 영향을 미칠까?

- 그러기를 바라지만, 가능성은 적어 보인다. 아베 총리는 역사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려 하고 있다. 일본이 국제 사회의 신뢰를 회복하려면 진정성 있는 태도로 과거를 이해하고 반성할 필요가 있다. 일본인과 국제 사회 구성원 대다수는 일본이 진실을 인정하고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이기를 바란다. 아베 총리가 이를 이해하리라는 희망을 버리지 않는 게 중요하다.

아베 총리가 끝내 입장을 바꾸지 않는다면. 

- 위험한 결정이 될 것이다. 아베 총리가 무라야마 담화(1995년 당시 일본 무라야마 도미이치 총리가 일본이 태평양 전쟁 당시의 식민지배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죄하는 뜻을 표명한 담화)의 메시지를 계승하지 않는다면, 세계 공동체의 강력한 반발에 부딪히게 될 것이다. 

역사 왜곡 문제는 한일 관계는 물론 한미일, 6자 회담 등 동북아 외교·협력 전반의 걸림돌이 되어 왔다. 

- 비정상적인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아베 총리와 그 지지자들은 일본이 영광스러운 전쟁을 수행했으며, 대일 제국이 선(善)이었다는 내용의 역사를 쓰려 하는 듯하다. 작년 아베 정부는 고노 담화(1993년 당시 고노 요헤이 일본 관방장관이 발표한 담화로, 일본군 ‘위안부’ 제도의 강제성과 일본군의 관여를 인정함)를 검증하겠다고 나섰다. 한일 관계를 망가뜨리고 희생자들을 탓하는 처사며, 일본의 긍지를 해치는 비열한 행위다. 또 이는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1952년 발효됐으며 전범 국가 일본이 점령 상태에서 벗어나 주권을 회복하게 된 조약) 체제를 무력화하려는 시도이며, 종전 70년간 평화를 위해 힘쓴 국제 사회의 노력을 부정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오늘날의 강한 ‘인권 국가’ 일본이 나올 수 있었는데도 말이다. 

갈등을 풀고 평화를 향해 나아가려면 각국은 어떤 정치적·외교적 노력을 해야 한다고 보나?

- 동북아의 발전은 지역 내 국가들이 화합할 때에 가능하다. 아베 총리는 아시아 없이도 ‘강한 일본’을 이야기하는데, 현재 일본이 안고 있는 경제 불안과 반대되는 이야기다. 아베 총리는 아시아와 세계 속 일본의 위치와 역할을 명심해야 한다. 지난 수십 년간 일본 지도자들도 화합에 힘썼다. 야스쿠니 신사 참배 등 논란은 있었지만 고이즈미 전 총리도 서울 서대문 형무소 방문, 한일월드컵 공동 개최 등에 나서지 않았나. 

또 아베 총리는 일본 내 혐한 감정을 해소하고 일본에 대한 국제 사회의 신뢰를 회복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 혐오와 갈등은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민주 국가의 지도자에게는 국민 의식과 공적 담론을 더 발전적이고 개방적인 방향으로 이끌 특별한 의무가 있다.

미국도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 미국은 지난 4월 아베 총리의 미국 방문으로 합의된 새 미·일 방위협력지침에 환영을 표했지만, 역사 문제에 대해서는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미국인으로서 특히 안타까운 부분이다. 그러나  2012년 당시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위안부의 공식 명칭을 ‘강요된 성노예(enforced sex slave)’로 바꿔야 한다”고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2014년 방한 당시 ‘위안부’ 문제는 끔찍한 인권 침해라고 말했다. 이게 미국의 공식적인 입장이라고 보지만, 더 분명하게 그러한 끔찍한 역사가 존재함을 언급할 필요가 있다.

 

여성신문과 인터뷰 중인 알렉시스 더든 미국 코네티컷대 역사학과 교수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sumatriptan patch sumatriptan patch sumatriptan patch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bystolic coupon 2013
여성신문과 인터뷰 중인 알렉시스 더든 미국 코네티컷대 역사학과 교수
abortion pill abortion pill abortion pill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gabapentin withdrawal message board
sumatriptan patch sumatriptan patch sumatriptan patch
what is the generic for bystolic bystolic coupon 2013 bystolic coupon 2013
ⓒ이정실 여성신문 사진기자

성폭력을 전쟁의 무기로 활용하고, 약자를 강제 동원해 착취하는 야만성은 인류 역사 곳곳에서 드러났다. 최근 IS, 보코 하람의 조직적 납치·강간 사례 등 분쟁지역에서 일어나는 성폭력도 심각하다. 이러한 문제에 맞서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 평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아시아 여성, 한국 여성은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

- 자신들의 고통을 고백한 피해자들의 용기, 피해자들과 연대하는 이들의 헌신이 이 문제를 다루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들의 노력이 없었다면 지금 이 인터뷰도 불가능했을 것이다. 1991년 ‘위안부’ 생존자들이 처음 입을 열던 날을 기억한다. 그 전후로 유고슬라비아 내전 성폭력 피해자, 호주 위안부 피해자 등 세계 각지의 전시 성폭력 피해자들도 유사한 증언을 했고, 다른 피해자들에게 대한 지지를 표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일본의 위안부 관련 시민단체인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자료관(WAM)’ 등도 설립됐다. 

자신들이 어떤 끔찍한 일을 겪었는지 증명하고 역사가 정확히 알려지기를 원하는 사람들, 이로써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하는 사람들 앞에서 우리는 숙연해진다. 이들에게는 하나의 신념이 있다. 성폭력이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되며, 성이 전쟁의 무기로 이용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믿음이다. “이는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여성의 문제”라고 그들은 외친다. 수많은 피해자의 용기 덕분에 오늘날 미디어에서 보코 하람의 ‘강간 캠프’ 등 성폭력 이슈를 더 많이 접하게 됐다. ‘위안부’ 체제에 관한 기본적 진실마저 부정하는 이들이 존재하는 한, 아직 멀었다는 생각도 들지만 말이다.

젠더 억압과 성 착취 문제는 현재진행형이다. 특히 전시에 두드러지며 젊은 여성과 소녀들이 주 표적이 된다. 하지만 여성만의 문제는 아니다. 필리핀, 인도네시아의 경우처럼 소년과 남성들이 성 착취와 폭력을 당하는 경우도 있다. ‘위안부(comfort women)’는 그들의 이야기까지 담지 못하는 완곡어법(euphemism)인 셈이다.

이를 막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성 평등에 대해 교육할 필요가 있다. 사람들이 성 평등의 가치를 직접 깨닫게 해야 한다. 하룻밤에 바뀌지 않겠지만, 이런 대화를 공개적으로 나눌 수도 없던 30여 년 전을 떠올려 보자. 성 평등하고 평화로운 미래에 대한 희망을 품고 우리 모두 열정과 노력을 더 쏟아야 한다. 

생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이제 52명이다. 피해자들 생전에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사후에는 어떻게 대응해야 한다고 보나? 

- 최근 피해자 할머니 한 분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접했다. 깊은 애도를 표한다. 일본 정부는 더 늦기 전에 생존자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해야 한다. 생존자들이 받아들일 수 있는 사과여야 한다. 그것이 국제적 지지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 문제를 방치하고, 해결을 위해 행동하기를 거부함으로써 일부 정치인들은 개인적인 이득을 얻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인류가 얻는 이득은 없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최근 “과거의 정리가 화해를 위한 전제가 된다. 일본이 ‘위안부’ 문제를 분명히 해결해야 한다”는 견해를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일본 의회에서 고노 담화의 내용을 공식적으로 법제화하는 안을 통과시킨다면, 일본 학교에서 이 역사를 공식적으로 가르칠 수 있게 하는 등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인다면, 갈등 해소를 위한 한 발자국을 내딛게 될 것이다. 

앞으로의 계획은.

- 과거로부터 배워, 현재와 미래를 폭력으로부터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순진하게 들리겠지만, 나는 역사학자다. 그렇기에 희망을 잃지 않으려 한다.

 

* 알렉시스 더든 교수는

미국의 대표적인 동북아 전문가로, 일본의 한국 식민지사에 대해 주로 연구했으며 한·일 관계에 정통하다. 일본에 대한 관심으로 연구를 시작했다가 ‘한국을 모르면 일본을 알 수 없다’는 선배의 조언에 한국어와 한국사를 공부했다.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동아시아학 학사를, 시카고대에서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일본과 한국에서도 수학했다.

저작권자 © 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